좋은 정보, 지식과 자료 마당

[스크랩] 다산 정약용 자료

한참사랑 2018. 11. 23. 23:22

1762(영조 38)-1836(헌종2).

조선후기의 문신, 실학자, 소자는 귀농(歸農), 자는 미용(美庸), 호는 사암, 탁옹, 태수, 자하도인, 철마산인, 다산, 당호는 여유(與猶), 경기도 광주(지금의 양주군 조안면 능내리 소내 마재)출신. 아버지는 진주목사 재원이며, 어머니는 해남윤씨로 두서의 손녀이다. 4남 2녀 중 4남으로, 1836년 2월 22일 향리에서 죽었다.

13세 때 풍천홍씨를 취하여 6남 3녀를 두었으나 4남2녀는 요절하고 학연 학유와 서랑 윤참모가 있을 뿐이다. 그의 일생은 대체로 3기로 나눌 수 있는데, 제1기는 벼슬살이하는 던 득의의 시절이요, 제2기는 귀양살이 하던 환난시절이요, 제3기는 향리로 돌아와 유유자적하던 시절이다.

 

<제1기>

제1기는 22세 때 경의진사가 되어 줄곧 정조의 총애를 한몸에 받던 시절로서 암행어사, 참의, 좌우승부지 등을 거쳤으나, 한때 금정찰방, 곡산부사 등 외직으로 좌천되기도 하였다. 정조의 지극한 총애는 도리어 화를 자초하기도 하였는데 정조의 죽음과 때를 같이 하여 야기된 신유교육에 연좌된 까닭도 여기에 있다. 왜냐하면, 신유교육사건은 표면적인 이유와는 달리 벽파가 남인계의 시파를 제거하는 위하여 일으킨 사건으로 평가되기 때문이다.

이 시기에 그의 학문적 업적은 그리 대단한 것은 없으나 16세 때 이미 서울에서 이가환, 이승훈, 등으로부터 이익의 학에 접하였고,23세 때에는 마재와 서울을 잇는 두미협 뱃길에서 이벽을 통하여 서양서적을 얻어 읽기도 하였다.

유학경전에 관한 연구로는 내강중용강의 내강모시강의 희정당대학강의 등이 있으며, 기술적 업적으로는 1789년 배다리의 준공과 1793년 수원성의 설계를 손꼽는다.

1791년 진산의 윤치충, 권상연의 옥 이후 천주교로 인하여 세정이 소연하던 중 1795년 주문모 신부의 변복잠입사건이 터지자, 정조는 수세에 몰린 다산을 일시 피신시키기 위하여 병조참의에게 금정찰방으로 강등 좌천시켰다. 불과 반년도 채 못되는 짧은 기간이기는 하지만 천주교에 깊이 젖은 금정역주민들을 회유하여 개종시킨 허물 때문에 후일 배교자로 낙인을 찍히기도 하였다. 그러나 소연한 세정이 가라않지 않고 더욱 거세지자 정조는 다시금 그를 1797년에 황해도 곡산부사로 내보내 1799년까지 약 2년간 봉직하게 하였다. 이 시절에 마과회통, 사기찬주와 같은 잡저를 남겼다. 내직으로 다시 돌아온지, 채 1년도 못되어 1800년 6월에 정조가 죽자, 그를 둘러싼 화기가 무르익어 1801년 2월 책통사건으로 체포, 투옥되니 , 이로서 그의 득의시절은 막을 내리고 말았다.

 

<제2기> 

1801년 2월 27일 출옥과 동시에 경상북도 포항 장기로 유배되니 이로써 그의 제2기인 유배생활이 시작되었다. 그해 11월에 전라남도 강진에서 이배될 때까지 9개월간 머무르면서 고삼창고훈, 이아술, 기해방례변등의 잡저를 저술하였으나 서울로 옮기던 중 일실하여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강진에 도착하자 첫발을 디딘 곳이 동문 밖 주가이다. 이공세서는 1805년 겨울까지 약 4년간 거처하였고, 자기가 묵던 협실을 사의재라 명명하기도 하였다. 이시절은 유배초기가 되어서 파문괴장 불허안접할 정도로 고적하던 시절로 기록되어 있으나 이 시기에 주가의 한 늙은 주모의 도움이 있었고, 1803년 봄에 때마침 만덕사 소풍길에 혜장선사를 만나 유불상교의 기연을 맺기도 하였다. 1805년 겨울에는 주역연구자료가 담긴 경함을 고성사로 옮겼으니. 여기에는 그를 위한 혜장선사의 깊은 배려가 스며 있었고 이로부터 두 사람의 인연은 날로 깊어 갔다.

한편, 9개월 만에 다시금 목리 이학래 집으로 옮겨 1808년 봄 다산초당으로 옮기게 될 때까지 약 1년 반동안 머물렀으니, 이때에 이학래로 하여금 다산역의 준공을 맞게 한 것을 보면 경함을 다시금 목리로 옮긴 사연을 짐작 할 수 있다. 이로부터 다산초당은 11년간에 걸쳐서 다산학의 산실이 되었다.

 

"주역사전"은 1808년에 탈고하였고 "상례사전"은 읍거시절에 기고하였으나 초당으로 옮긴 직후 1811년에 완성하였다. "시경"(1810), "춘추"(1812) "논어"(1813), "맹자"(1814), "대학"(1814), "중용"(1814), "악경"(1816), "경세유표"(1817), "목민심서"(1818)등을 차례로 저술하였고, 1818년 귀양이 풀리자 고향으로 돌아와서 "흠흠신서"와 "상서고훈"등을 저술하여 그의 6경 4서와 1표 2서를 완결지었다.

 

<제3기>

귀양에서 풀린 그의 제3기에는 회갑 때 "자찬묘지명"을 저술하여 자서전적 기록으로 정리하였다. 총 500여권을 헤아리는 그의 "여유당전서"는 대체로 6경4서 1표2서 시문잡저 등 3부로 분류할 수 있다.

먼저 6경 4서의 대강을 살펴보면, 첫째, 시에는 "모시강의" 12권 외에"시경강의보" 3권이 있다. 시는 풍림이라하여 권선징악의 윤리적 기능을 중요시한다. 악사들로 하여금 조석으로 연주하게 하여 왕자가 그 선함을 듣고 감동하여, 그 악함을 듣고 깨우치게 하니 그 엄함이 춘추보다도 더하다고 하였다.

둘째, 서에는 "매씨상서평" 9권 "상서교훈" 6권, "상서지원록" 7권이 있다. "선기옥형"은 상천의 의기가 아니요 "홍범구주"도 정전형을 본뜬 정치이념일 따름이라고 하였다.

셋째, 예에는 "상례사전" 50권, "상례외편"12권, "사례가식" 9권이 있다. 관혼상제등 사례 중에서도 상례에 치중한 까닭은, 전주교와의 상대적 입장에서 유교의 본령을 밝히려는 깊은 뜻이 있는 것으로 간주된다. 태로, 소로, 특생, 특돈의 예에서 그의 변도나 궤형의 수에는 일정한 법도가 있다. 군왕, 대부, 사의 계급에 따라 차등이 있으므로 멋대로 증감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넷째, 악(樂)에는 <악서고존>3권이 있다. 5성(聲) 6률(律)은 본래 같은 것이 아니다. 6률로써 制樂하므로 악가의 선천이요 5성으로써 分調하므로 악가의 후천이 되기 때문이다. 鄒衍, 呂不韋, 劉安등의 취률정성의 그릇된 학설을 따지는 한편 삼분손익, 취처생자의 설이나 괘기월기, 정반변반 등의 설은 모두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하였다.

다섯째, 易에는 <주역사전>24권, <역학서언>12권이 있다. 역에는 4법이 있는데 推移, 물상, 효변, 호체로서 십이벽쾌는 4시를 상징하고 중부, 소과 두괘는 오세재윤를 상징한다. 역에는 역수만 있고 순수는 없으므로 선천괘위의 설은 이치에 합당하지 않는다고 하였다.

여섯째, <춘추>에는 <춘추고징>12권이 있다. 좌씨의 책서는 춘추의 전이 아니요 그의 책서는 춘추의 전이 아니요 그의 경의는 해석도 한나라 학자들이 저지른 지나친 잘못이다. 체는 오제의 제사이다. 그런데 주례에서 체제를 말하지 않은 까닭은 그들이 오제를 제사지낸다고 한것이 바로 체제이기 때문이다. 춘추시대에도 상기에는 변함이 없으므로 두예(杜預)의 설은 준수할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일곱째, <논어>에는 <논어고금주>40권이 있다. <논어>는 다른 경전에 비하여 이의가 너무나도 많다. 총520여장중 170여장의 이의를 하나로 묶어서 <원의총괄>이라 하였다. 그중의 한 예를 들자면, 효제가 곧 인(仁)이니 인이란 총체적으로 붙인 이름이요 효제란 부목으로서 주자의 심덕, 애리(愛理)의 설은 받아들이지 않는다고 하였다.

여덟째, <맹자>에는 <맹자요의>9권이 있다. 성(性)이란 기호(嗜好)인데 형구(形鷗)의 기호와 영지(靈知)의기호가 있다고 한다. 본연지성은 본래 불가의 책에서 나왔으며 우리유가의 천명지성과는 서로 빙탄(氷炭)과도 같아서 상호간의 비교할 길이 없다고 하였다.

아홉째, <중용>에는 <중용자잠(中庸自箴)>3권, <중용강의보>6권이 있다. 용(庸)이란 항상 끊임없이 오래감을 의미한다. 보이지 않는 것은 내 눈에 보이지 않는 것이요 들리지 않는 것은 내 눈에 들리지 않는 것이니 그 것은 곧 하늘의 모습이요 하늘의 소리이기 때문이라고 하였다. 열째, <대학>에는 <대학공의(大學公議)> 3권, <희정답대학강의> 1권, <소학보전> 1권 <심경밀험> 1권이 있다. 명덕이란 효, 제, 자 삼덕으로서 사람의 영명(靈明)이 아니다. 격물의 물은 물유본말(物有本末)의 물(物)이요 치지(致知)의 지는 지소선후(知所善後)의 지다.

 

다음으로 1표 2서의 대강을 살펴보면, 첫째<경세유표> 48권이 있으나 미완본이다. 관제, 군현제도, 전제,부역, 공시, 창저(倉儲), 군제, 과제, 해세(海稅), 마정(馬政), 선법(船法) 등 국가 경영을 위한 제도론으로서 현실적 실용여부는 불구하고 기강의 대경대법을 서술하여 구방(舊邦)을 유신하고자 하였다.

둘째, <목민심서> 48권이 있다. 현재의 법도로 인민을 다스리고자 한 것이니 율기, 봉공, 애민을 3기(紀)로 삼았고 거기에다가 이, 호, 예, 병, 형, 공을 6전(典)으로 삼았으며 진황(賑荒)을 끝으로 하였다. 부정행위를 적발하여 목민관을 깨우치게 함으로서 그 혜택이 백성들에게 돌아가도로 하였다. 셋째, <흠흠신서> 30권이 있다. 인명에 관한 옥사를 다스리는 책이 적었기 때문에 경사(經史)에 근본하였거나 공안(公案)에 증거가 있는 것들을 모아 옥리들로 하여금 참고하게 함으로써 원한의 소지를 없애도록 하였다. 이로서 6경 4서로써 수기하고 1표 2서로써 치인하게 하여 수기치인의 본말을 갖추도록 하였다.

다음으로 시문잡저를 살펴보면, 시문집 18권을 간추려도 6권은 되고 잡문은 전편이 16권, 후편이 24편이다. 또한, 잡찬목록을 보면<아방비억고>30권(미완성)이 있고<아방강역고> 10권, <전례고> 2권 <대동수경> 2권, <소학주관> 3권, <아언각비> 3권 <마과회통> 12권, <의령> 1권 등이 있다.

 

다산 연보

 

 

1762년 1세

6월 16일 사시(巳時)에 경기도 광주군 초부면(京畿道 廣州郡 草阜面) 마재[馬峴], 지금의 남양주군 조안면 능내리(南陽州郡 鳥安面 陵內里)에서 아버지 나주 정씨(羅州丁氏) 재원(載遠), 어머니 해남 윤씨(海南尹氏;고산[孤山] 윤선도[尹善道]의 후손)의 넷째 아들로 태어남. 초자(初字)는 귀농(歸農), 관명(冠名)은 약용(若庸), 자(字)는 미용(美庸)·송포, 호(號)는 삼미(三眉)·다산(茶山)·사암(俟菴)·자하도인(紫霞道人)·태수(苔 )·문암일인(門巖逸人) 등 당호(堂號)는 여유당(與猶堂), 천주교명은 요안. 이해에 사도세자(思悼世子)의 변(變)으로 아버지 진주공(晉州公)이 시골로 돌아가기를 결심하였는데, 그때 마침 아들이 태어나니 귀농이라 이름지음.

1765년 4세

천자문(千字文)을 배우기 시작함.

1767년 6세

아버지 임소(任所)인 연천(漣川)에 따라감.

1770년 9세

11월 9일, 어머니 숙인(淑人) 윤씨를 사별함.

1771년 10세

관직을 물러나 집에 있게 된 아버지에게 경서(經書)·사서(史書)를 수학함.

1776년 15세

2월 22일, 부승지(副承旨) 홍화보(洪和輔)의 딸 풍산 홍씨( 山洪氏)와 결혼함. 아버지가 다시 복직되어 서울로 이사함.

1777년 16세

처음으로 성호(星湖) 이익(李瀷)의 유고(遺稿)를 봄. 가을에 아버지의 임지인 화순(和順)으로 따라감.

1781년 20세

서울에서 과시(科詩)를 익힘. 7월에 딸을 낳았으나 닷새 만에 죽음.

1782년 21세

서울(창동[倉洞])에 처음으로 집을 사서 삶.

1783년 22세

2월 세자(世子) 책봉을 경축하기 위한 증광감시(增廣監試)의 경의초시(經義初試)에 합격, 4월 회시(會試)에 생원(生員)으로 합격함. 선정전(宣政殿)에 들어 최초로 성군(聖君) 정조와 만남. 회현방(會賢坊)에 이사하여 재산루(在山樓)에 거처함. 9월, 장남 학연(學淵) 태어남.

1784년 23세

여름에 정조(正祖)에게 〈중용강의(中庸講義)〉를 바침. 이해 형 약현(若鉉)의 처남인 이벽(李壁)에게 서교(西敎)에 대해 듣고 책 한 권을 봄.

1786년 25세

7월에 둘째아들 학유(學游)가 태어남.

1789년 28세

5월에 부사정(副司正), 6월에 가주서(假注書)에 제수됨. 겨울에 주교(舟橋)를 설치하는 공사에 규제(規制)를 만들어 공(功)을 이룸

1790년 29세

2월에 예문관(藝文館) 검열(檢閱)이 됨. 3월 8일에 서산군(瑞山郡) 해미현(海美縣)에 정배(定配)되어, 13일에 배소(配所)에 이르고 19일에 귀양이 풀림. 9월에 정언(正言) 잡과감대(雜科監臺)에 나아갔고, 이어서 사헌부(司憲府) 지평(持平)에 제수되어 무과감대(武科監臺)에 나아감.

1791년 30세

5월에 사간원(司諫院) 정언, 10월에 사헌부 지평에 제수됨. 겨울에 〈시경의(詩經義)〉8백여 조(條)를 바쳐 임금으로부터 크게 칭찬을 받음.

1792년 31세

3월에 홍문관록(弘文館錄)에 뽑혔으며, 이어 홍문관(弘文館) 수찬(修撰)이 됨. 4월 9일 진주(晉州) 임소에서 아버지 진주공의 상(喪)을 당함. 겨울에 명을 받들어 〈수원성제(水原城制)〉를 지어 올림.

1794년 33세

3년상을 마침. 7월 성균관(成均館) 직강(直講), 10월에 홍문관(弘文館) 교리, 수찬을 거쳐 10월 29일 경기 암행어사(暗行御史)의 명을 받들고 11월 15일 복명(復命)함. 12월 홍문관 부교리(副校理)에 제수됨.

1795년 34세

1월에 동부승지(同副承旨), 2월에 병조참의(兵曹參議), 3월에 우부승지(右副承旨)를 제수받음. 주문모(周文謨) 사건에 둘째형 약전(若銓)의 연좌로 7월 26일 충청도(忠淸道) 금정(金井) 찰방(察訪)으로 외보(外補)됨. 이 때 〈서암강학기(西巖講學記)〉〈도산사숙록(陶山私淑錄)〉을 작성하고, 성호유고(星湖遺稿)도 정리함. 12월에 용양위(龍 衛) 부사직(副司直)으로 옮겨짐

1796년 35세

10월에 규영부(奎瀛府) 교서(校書)가 되고, 12월에 병조참지(兵曹參知), 다시 우부승지, 좌부승지(左副承旨)에 올랐다가 부호군(副護軍)으로 옮겨짐.

1797년 36세

윤6월에 황해도(黃海道) 곡산(谷山) 도호부사(都護府使)로 나가서 치적(治積)을 올림. 겨울에 《마과회통(麻科會通)》12권이 완성됨.

1798년 37세

4월 《사기찬주(史記纂註)》를 정조에게 올림.

1799년 38세

2월 황주 영위사(黃州迎慰使)로 임명하는 교지를 받고, 4월에 내직으로 옮겨져 병조참지, 5월에 동부승지, 부호군(副護軍), 서울에 돌아와서 형조참의(刑曹參議)를 제수받음. 6월에 반대파의 무고에 대해 〈자명소(自明疏)〉를 올리고 사직하려 함.

1800년 39세

봄에 처자(妻子)를 데리고 하향(下鄕), 왕명(王命)으로 다시 상경했으나 6월 28일 정조가 급서(急逝)함. 이해 〈문헌비고간오(文獻備考刊誤)〉가 이룩됨.

1801년 40세

2월 9일, 정원(政院)의 논계로 옥에 갇힘. 3월에 경상도(慶尙道) 장기(長 )에 유배됨. 이때 둘째형 약전은 신지도(薪知島)에 유배, 셋째형 약종(若種)은 옥사함. 〈이아술(爾雅述)〉6권과 〈기해방례변(己亥邦禮辨)〉등을 지었으며, 여름에는 〈백언시(百諺詩)〉를 이룩함. 10월 황사영사건(黃嗣永事件)으로 다시 체포되어 11월 전라도(全羅道) 강진현(康津縣)으로 귀양감.

1803년 42세

봄에 〈단궁잠오(檀弓箴誤)〉, 여름에 〈조전고(弔奠考)〉, 겨울에는 〈예전상의광(禮箋喪儀匡)〉17권을 저술함.

1804년 43세

봄에 2천 자로 된 〈아학편훈의(兒學編訓義)〉가 이룩됨.

1805년 44세

여름에 〈정체전중변(正體傳重辨)〉일명 〈기해방례변〉3권을 완성함. 겨울에 학연이 와 지냄. 이에 보은산방(寶恩山房)에서 《주역(周易)》《예기(禮記)》를 가르치며 〈승암문답(僧菴問答)〉52칙(五二則)을 이룩함.

1807년 46세

겨울에 〈예전상구정(禮箋喪具訂)〉6권이 이룩됨.

1808년 47세

봄에 강진 도암면(道岩面) 만덕리9萬德里;귤동) 다산(茶山)의 산 밑에 있는 윤박(尹博)의 산정(山亭)으로 옮겨 〈다산문답(茶山問答)〉1권을 만들고, 여름에 〈가계(家誡)〉를 쓰고, 겨울에 〈제례고정(祭禮考定)〉이 이룩됨. 겨울에 《주역심전(周易心箋)》24권, 〈독역요지(讀易要旨)〉18칙, 〈역례비석(易例比釋)〉, 《주역사해(周易四解)》, 그리고 《주역서언(周易緖言)》12권을 저술함.

1809년 48세

봄에는 〈예전상복상(禮箋喪服商)〉을, 가을에는 《시경강의산록(詩經講義刪錄)》이 이룩됨.

1810년 49세

봄에 《시경강의보(詩經講義補)》, 〈관례작의(冠禮酌儀)〉가 이룩됨. 〈가례작의(嘉禮酌儀)〉를 씀. 겨울에 〈소학주관(小學珠串)〉3권이 이루어짐

1811년 50세

봄에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10권, 겨울에 〈예전상기별(禮箋喪期別)〉을 저술함.

1812년 51세

봄에 〈가정공행장(稼亭公行狀)〉을 짓고, 《민보의(民堡議)》3권, 겨울에 《춘추고징(春秋考徵)》12권을 저술.

1813년 52세

겨울에 《논어고금주(論語古今注)》40권이 이룩됨.

1814년 53세

여름에 《맹자요의(孟子要義)》9권, 가을에 《대학공의(大學公議)》3권, 《중용자잠(中庸自箴)》3권, 그리고 《중용강의보(中庸講義補)》, 겨울에 《대동수경(大東水經)》2권이 저술됨.

1815년 54세

봄에 〈심경밀험(心經密驗)〉, 〈소학지언(小學枝言)〉이 이룩됨.

1816년 55세

봄에 《악서고존(樂書孤存)》12권이 이룩됨.

1817년 56세

가을에 《상의절요(喪儀節要)》가 이룩됨. 《방례초본(邦禮草本);후의 경세유표(經世遺表)》은 49권으로 미완성인 채 〈목민심서(牧民心書)〉의 저술에 착수

1818년 57세

봄에 《목민심서》48권이 완성됨. 여름에 《국조전례고(國朝典禮考)》를 저술. 8월에 귀양이 풀려서 다산을 떠나, 9월 14일에 마재 고향집에 돌아옴.

1819년 58세

여름에 《흠흠신서(欽欽新書)》30권을, 겨울에는 《아언각비(雅言覺非)》3권을 저술함.

1821년 60세

봄에 《사대고례산보(事大考例刪補)》가 이룩됨.

1822년 61세

회갑을 맞아 스스로 〈광명(壙銘)〉을 지음.

1827년 66세

10월 윤극배(尹克培)가 무함하는 상소를 올렸으나 마침내 무고함이 드러남.

1830년 69세

5월 5일, 약원(藥院)에서 탕서(湯 )할 것을 아뢰어 부호군 단부(單付)가 되었으나, 약을 쓰기 전에 효명세자(孝明世子)가 죽어 6일 하향함.

1834년 73세

봄에 《상서고훈(尙書古訓)》과 《지원록(知遠錄)》을 개정(改訂)하여 21권으로 합편(合編)함. 가을에 《매씨서평(梅氏書平)》을 개정 보완하여 10권으로 함. 11월에 임금의 환후로 인해 다시 명령을 받고 서울로 올라갔으나 이미 때가 늦어 이튿날 시골로 돌아옴.

1836년 75세

2월 22일 진시(辰時) 초에 마재 자택(自宅) 정침(正寢)에서 조용히 서거(逝去)함. 4월 1일 여유당 뒷동산, 곧 지금의 양주군 와부면 능내리의 자좌지원(子坐之原)에 안장됨.

1883년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가 전사(轉寫)되어 내각(內閣)에 수장(收藏)됨.

1910년 7월 18일 정2품(正二品) 정헌대부(正憲大夫) 규장각제학(奎章閣提學)을 증직하고 시호(諡號)를 문도공(文度公)이라 함.

 

 

다산의 삶(자찬묘지명)

 

 

 

 

 

이 무덤은 열수(洌水) 정약용(丁若鏞)의 묘이다.

 본 이름은 약용(若鏞)이요, 자(字)는 미용(美庸), 또 다른 자는 용보(頌甫)라고도 했으며, 호는 1)사암(俟庵)이고 당호는 2)여유당(與猶堂) 인데, 겨울 내를 건너고 이웃이 두렵다는 의미를 따서 지었다. 아버지의 이름은 재원(載遠)이며 음사(蔭仕)로 진주 목사(晉州牧使)까지 지냈다.

어머니는 숙인(淑人) 3)해남 윤씨 (海南尹氏)로 영조 임오년(壬午年: : 1762) 6월 16일 약용을 한강변의 마현리(馬峴里)에서 낳았다. 이 때는 청나라 건륭(乾隆) 27년이었다. 정씨 (丁氏)의 본은 압해(押解)로 고려 말에 배천(白川)에서 살다가 이씨 조선을 세울 무렵부터 드디어 서울에서 살았다.

맨처음 벼슬을 한 선조는 승문원(承文院) 교리를 지낸 자급(子及)으로 이때부터 쭉 이어져 홍문관 부제학을 지낸 수강(壽崗), 병조 판서 옥형 (玉亨), 의정부 좌찬성 응두(應斗), 사헌부 대사헌 윤복(胤福), 강원도 관찰사 호선(好善), 홍문관 교리 언벽 (彦璧), 병조 참의를 지낸 시윤(時潤)은 모두 옥당(玉堂)에 들어갔었다.

그 이후부터 세상이 어긋나자 마현에 이사와서 살았는데 3세를 모두 포의로 마쳤다. 고조의 이름은 도태(道泰), 증조의 이름은 항신(恒愼), 조부의 이름은 지해(志諧), 오직 증조만이 진사였다.약용은 어려서부터 영특하여 제법 문자를 알았었다. 9세에 어머니의 상을 당했고 10세부터 비로소 과예(課藝) 공부를 하기 시작했다. 그후 5년 동안 4)아버지께서 벼슬을 하지 않고 한가히 계셨는데, 이 때문에 나는 경전(經典 )과 사서 (史書) ·고문(古文)을 매우 부지런히 읽었으며, 또 5)시율(詩律)을 잘 짓는다는칭찬을 받기도 했었다.

15세에 결혼을 하자 마침 아버지께서 다시 벼슬을 하여 호조좌랑(戶曹佐郞)이 되셨으므로 서울에서 셋집을 얻어 살게 되었다. 이 때 서울에는 이가 환(李家煥) 공이 문학으로써 일세에 이름을 떨치고 있었고 자형인 이승훈 (李承薰)도 또한 몸을 가다듬고 학문에 힘쓰고 있었는데, 모두가 성호(星湖) 이익 (李瀷) 선생의 학문을 이어받아 펼쳐나가고 있었다. 그래서 약용도 성호 선생이 남기신 글들을 얻어 보게 되자 흔연히 학문을 해야 되겠다고 마음을 먹었다.

정조 원년 정유(丁酉 : 16세, 1777)에 아버지께서 화순(和順)현감으로 나가시게 되어 나도 따라가서 그 이듬해에는6)동림사(東林寺)에서 독서를 했다. 경자년(更子年 : 19세, 1780) 봄에 아버지께서 예천(醴泉)군수로 옮기셨 으므로 진주(晉州)에 들러 노닐다가 예천으로 가서 쓰러져가는 관청집에서 공부를 했다.

임인년(壬寅年 . 21세, 1782) 가을에는 봉은사에 머물면서 경의과(經義科)의 과목을 공부하였다. 계모년(癸卯年 : 22세, 1783)) 봄에는 경의과 진사시험에 합격하여 태학(太學)에서 공부하게 되었다. 그 때 임금이 중용강의 (中庸講義) 80여 조목에 관하여 답변토록 과제를 내려주셨는데 이 때 나의 친구 이벽(李壁)이 학식이 넓고 품행이 고상하다는 이름을 얻고 있어서 함께 과제에 답변할 것을 의론했다. 이발기발(理髮氣發)의 문제에 있어서 이벽은 퇴계의 학설을 주장했고 내가 답변한 내용은 문성공(文成公) 율곡(栗谷) 이이 (李珥)의 학설과 우연히 합치되어서 임금이 다 보시고 난 후 매우 칭찬하시고 1등으로 삼아주셨다.도승지(都承旨) 김상집 (金尙集)이 밖에 나와 사람들에게 말하기를 "정아무개는 임금의 칭찬을 받음이 이와 같으니 크게 이름을 떨치리라" 고 했었다.

갑진년(甲辰年 : 23)세, 1784) 4월 이벽을 따라 두미협 (斗尾峽)으로 배를 타고 내려가다 처음으로 서교(西敎)에 대하여 듣고 한 권의 책을 보았다. 그러나 변려문(驪儷文)의 학습에 온 마음을 기울여 공부하고 7)표(表) ·전 (箋) ·조(詔) ·제 (制)를 익히며 그런 글들을 여러 백권 수집을 하면서 태학에서 달마다 내리는 과제와 열흘마다 보는 시험에 높은 점수로 뽑혀 서적이나 종이 ·붓 등을 자주 하사받기도 하고 경연에 올라가는 가까운 신하처럼 임금께서 자주 면담하도록 해주시어 그 밖의 일에는 참으로 마음을 기울일 겨를을 내지 못했었다.

정미년(丁未年: 27세, 1787) 이후로는 임금의 총애가 더욱 높아갔고 자주 이기경 (李基慶)의 정자(亭子)에 나가 과거 공부에 열중하였다. 이기경도 서교 듣기를 즐겨하여 손수 한 권의 책을 베껴놓기까지 했는데 그가 두 마음을 먹기는 무신년(戊申年 . 정조 12년, 8)1788년부터였다.

기유년(己酉年' 28세, 1789) 봄에 나는 성균관에서 보던 시험에 표문(表文) 으로써 수석하여 임금 앞에서 실시하는 대과에 응시, 갑과(甲科) 2등으 로 합격하여 희릉 직장(禧陵直長)으로 발령을 받고 대신들의 품의로 초계문신(抄啓文臣)으로 뽑혀 규장각(奎章閣)에서 매월의 과제에 답변을 올리게 되었다.

경술년(庚戌年 ' 29세, 1790) 봄에는 약용이 김이교(金履喬)와 함께 추천을 받아 9)한림(翰林)에 들어가 예문관 검열이 되었다. 그러나 곧 사람들의 말이 있어 스스로10)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다시 사헌부 지평 (持平), 사간원 정언(正言)에 승진하고 월과(月課)에 수석하여 말과 호랑이 가죽을 하사 받는 등 총애를 받았다.

신해년(辛亥年: )30세, 1791) 겨울에 내각(內閣)에서 모시강의 (毛詩講義) 800여 조를 내렸었는데, 나의 답변이 제일 많이 채택되었었다. 임금이 비평 한 말씀에 "백가(百家)의 이론을 인용하여 나타낸 주장이 무궁하다. 진실로 평소에 쌓아둔 박식한 공부가 아니고서야 어찌 이러한 내용을 얻었겠는가" 라고 하시며 조목마다 잘했다고 평가해 주시어 모두가 기대했던 것보다 훨씬 좋은 평가를 받았다.

이 무렵 호남에서 11)권(權) ·윤(尹)의 옥사(獄事)가 있었는데 악인(惡人) 홍낙안(洪樂安) 등이 이 사건을 핑계삼아 착한 무리들을 모두 제거해버릴 것을 꾀하려고 하여 12)번옹(樊翁)에게 글을 올려 말하기를 "총명한 재주와 지혜로 보란듯한 관료와 선비들의 열 명 중 7, 8 명은 모두간 서교(西敎)에 빠져 앞으로 황건(黃巾) · 백련(白蓮)의 난리가 있을 것입니다" 라고 했다. 임금께서 채제공으로 하여 조사하는 관청에 앉아 목만중(睦萬中) ·홍낙안 이기경 등을 불러다 그 허실을 조사하게 하였다.

이기경이 답변하기를 "그 책 속에는 좋은 곳도 있습니다. 저와 이승훈이 옛날에 성균관에서 공부할 때 함께 그 책을 읽었습니다. 만약에 책을 읽은 죄를 논하게 된다면 저와 승훈은 마땅히 똑같이 엄한 벌을 받아야 합니다" 라고 말했었다. 곧바로 또 나에게 편지를 보내서 답변했던 내용에 대하여 말하기를 "임금께 대답한 말에 저울질이 있었다. 풀려나게 하려고 한 것이다" 라고 했다.

내가 이치훈(李致薰)을 불러다가 말하기를 "성균관에서 그 책을 읽은 것은 실로 심리를 받아야 할 것이다. 마땅히 사실로써 답변을 해야지 임금을 속이는 일은 옳지 못하다" 라고 했더니, 이치훈이 말하기를 "임금께 비밀히 아뢰었으니 이미 자수한 거니까 옥중에서 피고가 답변한 것은 사실에 위배되더라도 임금을 속인 것까지는 되지 않는다" 라고 해서 내가 "그렇지 않다. 밀고라는 것은 정식의 재판은 아니나 답변한 내용은 곧 임금께 고한 것이다. 조정에서는 오직 옥중의 답변 내용만 관찰하지만 훌륭한 집안과 이름 있는 족당에서의 집안마다의 공론도 무서운 것이다. 지금 어지신 임금이 위에 계시고 정승이 잘 도와 처리하고 있으니 이런 때에 종기를 따내버림이 옳지 않겠는가. 나중에 비록 후회한다 해도 손을 쓸 수가 없을 것이 다" 라고 했지만 이치훈은 끝내 듣지 않았다.

그리고는 이승훈이 감옥에서 조사받을 때 이기경이 무고(誣告)했다고 말하자 마침내 죄가 없다고 풀려나오고 말았다. 이러하자 이기경은 13)초토신(草土臣)으로 상소하여 조사한 일이 불공정했다고 대신(大臣)을 헐뜯으니 성균관에서 서서 (西書)를 읽은 일이 더욱 상세하게 드러났다. 임금께서 화를 내시고 이기경을 함경도 경원 (慶源)으로 유배를 보내자 옆에서 구경하던 사람들이 통쾌하게 여겼었다. 그러나 나는 "그렇지 않다. 우리편의 화란이 이로부터 시작하리라" 라고 말 했다. 나는 때때로 이기경의 집을 찾아가서 (그때 연지동에 있었다.-原註 ) 그의 어린 자식들을 어루만져 주었고 그의 어머니의 소대상(小大祥) 제사 때에는 천전(千錢)의 돈으로 도와주었다.

을모년(乙卯年)34세, 1795) 봄에는 나라에서 대사면이 있었으나 이기경만은 석방되지 못하고 있었다. 그래서 내가 이익운(李益運)에게 말하기를 "이기경이 비록 마음은 불량하나 송사(訟事)에는 당해낼 사람이 없습니다. 일시적으로는 통쾌한 일이나 다른 때의 우환이 될 것입니다. 들어가 상감께 고하여 풀어주게 하는 것만 같지 못합니다" 라고 했더니, 이익운도 "내 생각도 그러하다" 라고 하고는 곧바로 상감께 올라가 말한대로 고했더니 임금께서 특별히 이기경을 풀어주게 하셨다.

이기경이 풀려온지 꽤 지나자 점차로 조정에 들어와 벼슬하게 되었는데 아는 친구로서 그에게 말을 걸어주는 사람은 한 사람도 없었다. 나만 이 홀로 옛날처럼 안부와 날씨를 물으며 평상시처럼 지냈다. 이른바 "친구 란 친구로 삼았던 것을 없앨 수 없다" 라는 이유에서였다. 그런데 이기경은 그가 주모한 신유사옥에서까지도 기어코 나를 죽여 없애려고 하였다. 그러면서도 홍의호(洪義浩) 등 나와 가까이 지냈던 사람들을 대할 때에 이야기가 나에 대해서 나오면 반드시 철철 눈물을 흘렸다고 하니, 비록 큰 계획을 수행하고 있으면서도 한가닥 양심은 사라지지 않았던 것 같다.

신해사건 이듬해인 임자년(31세, 1792) 봄에 내가 선발되어 홍문관에 들어가 수찬이 되고 내각에 가서 14)『경화시집 (啄和詩集)』을 만들었다. 4월에는 아버지께서 진주 임소에서 돌아가셨다. 병보를 듣고 급히 진주로 가던 중 운봉(雲峰)에서 돌아가신 소식을 듣고 분상했다. 다음달에야 관을 모시고 와 충주(忠州)에 장사를 지내고 마현의 가묘(家廟)에 혼백을 모셨다. 임금께서도 자주 안부를 물어 오셨다.

이 해 겨울에 수원(水原)에 성을 쌓는데 임금께서 말씀하시기를 "기유(2세,1777) 겨울에 한강에 부교(浮橋)를 놓을 때 약용이 그 방법을 아뢰어주어 일이 성공적으로 이루어졌었다. 그에게 명하여 집에 있으면서 성곽도에 대해 조목별로 올려바치게 하라" 고 하셨다. 그래서 내가 윤경(尹?)의「보약(堡約)과 유성룡(柳成龍)의 성설(城說)에서 도움을 받아 그 중에서 좋은 방법을 따다가 초루(?樓) ·적대(敵臺)·현안(懸眼) ·오성지 (五星池)여러 방법을 이치에 맞게 밝혀 임금께 올렸다. 임금은 또 내각에 있는 『도서집성(圖書集成)』과 『기기도설(奇器圖說)』을 내려보내 무거운 물건을 끌어올리고 세우는 인중기중(引重起重)의 방법을 강구하도록 하셨기에 내가 기중가도설(起衆架圖說)을 작성하여 올려바치고 활차(滑車)와 고륜(鼓輪) 등을 써서 작은 힘으로 크고 무거운 물건을 운반할 수 있게 했었다. 성 쌓는 일을 끝마쳤을 때 임금이 말씀하시기를 "다행히 기중가(起重架)를 사용하여 4만 냥(兩)의 비용을 절약했다"라고 하셨다.

계축년( 32세, 1793) 여름에 문숙공(文肅公) 채제공이 화성유수(華城留守)로 있다가 영의정이 되어 들어와 상소를 올려 다시 15)임오년에 참소했던 사람에 대하여 논했는데, 김종수(金鍾秀)가 말하기를 "임자년(1792)에 연명으로 올린 차자(箚子) 후에 다시 이 문제에 대하여 제기하는 사람은 역적이 다" 라고 하며 몹시 공격하였다. 임금께서 영조대왕의 금등의 말씀(金?之詞)을 꺼내 보이면서 장현세자의 뛰어난 효도를 명확히 밝혀주어 일이 끝나게 되었다. 이때 홍인호(洪仁浩)가 한광부(韓光傅) 공에 대항하여 역시 제공의 상소문을 공격하였는데, 말 중에는 망발이 많아 친히 지내던 관료나 선비들이 모두 입을 모아 홍인호를 공격하였으니 이것이 이른바 갑인년(33 세, 1794)의 사건이었다. 홍인호는 자기를 공격하는 일에 주된 역할을 하는 사람이 나인 줄 의심하고 마침내 틈이 나서 지냈으나 그 뒤에 의심은 조금씩 풀렸지만 우리 당(黨)의 참혹한 화란은 대개 이 사건에서 움트고 있었다.

갑인년(1794) 7월에 아버지의 복을 마치자 성균관 직강으로 제수받았으며 8월에는 비변사(備邊司)의 낭관을 맡고 10월에 다시 홍문관에 들어가 교리 (校理) ·수찬(修撰)이 되었다. 마침 관청에서 숙직을 하고 있을 때 갑자기 임금의 명령으로 노량진의 별장(別將) 겸 16) 장용영(壯勇營)별아병장(別牙兵將)으로 좇겨났는데 밤중에 임금의 침전(寢殿)으로 불리어 들어가 보니 그건 경기 암행어사를 시키는 명령이었다.

이때 17)서정승(徐相)의 집 사람으로 마전(麻田)에 살던 사람이 있었는데, 죄를 부려서 향교(鄕校)의 땅을 정승의 집에 바쳐 묘지로 삼으려 고 "땅이 불길하다" 라고 속이고 고을 유림들을 협박하여 향교를 이전키로 해서 이미 명륜당(明倫堂)을 헐어버렸었다. 내가 이 사실을 탐지해내고 곧 바로 체포해 처벌해 버렸다.

또 관찰사(觀察使) 서용보(徐龍輔)가 강가에 인접한 7개읍에서 관청 곡식을 팔아서 돈을 만드는데 너무 비싸게 팔고 있었다. 그러면서 18)말하기를 "이 돈은 금천(衿川)의 도로를 보수할 비용이다. 싼 값으로 얻을 수 있겠는가" 라고 했다.이에 힘없는 백성들이 원망하면서 말하기를 "괴롭구나, 화성이란 곳이여. 과천에도 길이 있는데 왜 하필이면 금천으로 지나는가" 라고 하고 있었으니, 이는 임금이 자주 아버지의 묘소를 다니기 때문에 번거로운 비용까지를 물게 된다는 말이었다. 그래서 나는 암행을 마치고 돌아와 이 사실을 올려바쳤었다.

내의(內醫) 강명길(康命吉)은 삭녕 (朔寧)군수, 지사(地師) 김양직(金養直)은 연천(連川)현감으로 있었는데 모두가 임금의 총애를 믿고서 법을 어기고 거리낌없이 탐학질을 했었다. 내가 이들을 탄핵하여 임금께 올려바쳐 의법 처리되도록 하였다.

그 해 12월에 임금께서 의론하시기를, 명년에 장헌세자에게 존호(尊號)를 올려바쳤으면 한다고 하셨다. 을묘년(1795)은 바로 장헌세자의 회갑의 해여서 역시 태비(太妃)나 태빈(太嬪)에게도 존호를 올리기로 하고 예조(禮曹) 에 그 문제를 전담하는 도감(都監)을 설치하였다. 채제공이 도제조(都提調)가 되고 나와 권평(權坪)이 도청랑(都廳郞)이 되었다.

이때 조신(朝臣)들이 올려바칠 휘호(徽號) 여덟 자를 의론해 놓았는데 그 내용에는 영조께서 내려주신 금등(金?)에 담긴 세자의 효성스러웠던 점을 빛나게 해 주는 점이 없었기 때문에 임금께서는 바꿀 의론을 생각하면서도 흠잡을 말이 없어서 은밀히 채제공에게 자문을 구했는데 이가환이 말하기를 "올려바친 여덟 자 중에는 개운(開運)이라는 두 글자가 들어 있습니다. 그것은 바로 19)석진(石晉)의 연호이니 당연히 그 이유를 20)대면 될 것입니다" 라고 하였다. 임금이 매우 기뻐하고 바꾸도록 명령하여 올려바쳤으니 '장륜융범기명창휴(章倫隆範基命彰休)' 였다. 바로 이곳의 21)장륜융범이란 금등의 내용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대제학(大提學) 서유신(徐有臣)이 옥책문(玉冊文)을 지었는데 또 금등의 일을 말하지 않았다. 당시 응교(應敎)이던 한광식(韓光植)이 상소를 올려 옥책문의 소루함을 논했었다. 임금께서 한광식의 상소문을 도감청의 여러 신하들에게 내려보내고 다시 짓는 일이 옳은가 그렇지 않은가를, 혹 몇 개의 글귀만 고쳐도 될 것인가를 의론하라고 하셨다. 이 때 도감 제조(都監提調)인 민종현(閔鐘顯)·심이지 (沈滯之)·이득신(李得臣)·이가환 등이 모두 입을 다물고 말하지 않아 결정을 못 내리고 있었다.

내가 말하기를 "무릇 표 (表)· 전(箋) ·조(詔) ·고(誥)의 종류란 만약 글귀에 잘못이 있다면 약간씩 깎아내도 괜찮으나 지금의 옥책에다 금등의 일을 말하지 않았음은 기본 줄거리가 완전히 잘못된 것이니, 부득이 다시 지어서 임금께 근심을 끼쳐 드리지 않는게 좋겠다" 라고 했었다. 그러자 도제조(都提調) 채제공이 다시 짓기를 청하기로 하였다.

다시 짓는 일이 끝나 올려바칠 때 궁리(宮吏)가 말하기를 "태빈궁(太嬪宮)에 바칠 옥책과 금인(金印)에 글을 쓸 때 신근봉 (臣謹封)이라고 쓸 것인가 아니면 신(臣)이라고는 하지 말아야 할 겁니까?" 라고 물었다. 채제공이 여러 책이나 의궤(儀軌)를 살펴보라고 했으나 근거 가 될 만한 것을 찾지 못하고 낮이 다 되도록 결정을 못한 채 우왕좌왕 어찌할 바를 모르고 있기에 내가 말하기를 "신 근봉이 옳습니다" 했더니, 채공이 눈빛으로 망언을 못하도록 암시해 주었다.

민(閔)·심 (沈) 양공이 말하기를 "왜 그런가" 라고 하기에 내가 답하기를 "지금의 옥책 ·옥보(玉寶) · 금인의 여러 물건은 도감청의 여러 신하들 이름으로 태비나 태빈에게 올리는 것이라면 조정에서 태빈에게만은 보통 때 신(臣)이라고 칭하지 않기 때문에 이번의 일도 신이라고는 않는게 옳습니다. 그러나 지금 우리 신하들은 임금의 명령을 받들어 이 옥책 등의 물건을 만들어 대전(大殿)에 계시는 임금께 올리는 것이고 임금이 스스로 효도하는 정성으로 태비와 태빈에게 올려 바치는 것인데 지금 우리가 대전의 임금에게 왜 신이라고 안해야 하는 겁니까" 라고 했더니, 채공이 크게 깨닫고 "좋다" 라고 하니, 그 좌석에 있던 모든 사람들이 잘 되었다고들 했었다. 이날 여러 하급관리 및 궁중에 근무하는 궁리들로 그 일을 구경하고 있던 사람들 모두가 통쾌한 논리라고 해서 의론이 결정되었다. 그 뒤 며칠 후에 채공이 말하기를 "신(臣)이라고 하는 것과 신(臣)이라 하지 않는 것은 대단히 큰 문제요, (追崇하는 것으로 여겨 혐의받을 것을 말 함이다. -原註) 22)내가 처음 그대의 말을 듣고 깜짝 놀랐는데 말뜻을 해석해 낸 걸 듣고서야 마음이 풀렸구려" 라고 하였다.

이 무렵에 내각학사(內閣學士) 정동준(鄭東逡)이 병이 났다는 핑계로 집에서 지내며 음흉하게 조정의 권한을 잡아보려고 사방의 뇌물을 긁어 모으고 귀신(貴臣)과 명경 (名卿)들이 밤마다 백화당(百花堂)에 모여 잔치를 베풀고 있자 안팎으로 눈을 찌푸리게 되었다. 내가 늘 정동준을 공격하고 싶어 상소문을 초해 놓기를 "내각을 설치한 것은 임금께서 옛날의 아름다움을 이어받고 문치(文治)를 펴나가게 하자는 것이며 또 원대한 경륜을 계획하려 함입니다. 무릇 신하로 있는 사람으로서 누가 그 일을 흠앙치 않으리요. 그러나 그 인원을 선발하는 과정에서 더러는 적합치 못한 사람이 뽑혀서 임금의 총애를 분수 외로 받게 되자 교만심과 사치하는 마음이 움터 비방의 소리가 일어나게 되었으니 각신(閣臣)인 정동준과 같은 사람은 병을 핑계삼아 집안에 머무르면서 아침 저녁으로 공부하고 몸 닦는 일도 하지 않으니 그 일을 괴이하게 여겨 의심하지 않는 사람이 없습니다. 더구나 그의 저택은 규제를 벗어나 지나가는 사람마다 손가락질을 하고 있으니, 이거야말로 각신으로 있는 다른 사람들에게까지 좋은 소식이 될 게 없으리라 싶어 걱정입 니다. 엎드려 바라옵건대, 임금께서는 조금씩 억제해 주시고 분수를 지킬 수 있게 해주신다면 조정이나 조정 밖의 의심을 푸는 것만이 아니라 자기 자신에게도 행복일 것입니다" 라고 적어 놓았는데 갑인년(33세, 1794) 겨울에 두번째로 옥당에 들어갔고 곧 자리가 바뀌는 바람에 상소를 올리지 못하고 말았었다. 그러다가 을묘년 봄에 정동준이 일이 발각되어 자살해버려 마침 내 그만두었다.

이 해 정월에는 특별히 사간(司諫)으로 임명되고 이어서 통정대부(通政大夫) 동부승지(同副承旨)로 발탁되었으니 도감(都監)의 노고 때문이었다. 2월에 임금께서 태빈을 모시고 부왕(父王)의 소생인 여러 누나 및 누이동생 들과 함께 화성에 납시는데 하루는 약용에게 명하시기를, 따라갈 채비를 하라 하셔 무슨 직책을 주시려나 했더니, 며칠 후에 특별히 병조 참의(兵曹參議)를 제수하시고 시위(侍衛)해서 따라오도록 하셨다. 화성에 있으며 연회 석상마다 임금의 시를 화답해 지었는데 총애를 주심이 융숭했었다.

환궁한 뒤 병조에서 근무중인데 밤중에 칠언 배율(七言排律) 100구를 지어올리라 하셔, 올렸더니 칭찬해 주시고 예문관과 규장각의 여러 학사(學士)들인 민종현 ·심환지 (沈煥之) · 이병정 (李秉鼎) 등에게 비평하여 올리라고 명령하시고, 내각학사 이만수(李晩秀)에게 낭독하게 하시고는 임금의 비평을 곁들여 장려하고 깨우쳐 주심이 융숭하시고 사슴가죽을 하나 하사해 주시며 총애해 주셨다. 임금께서 가까이 있는 신하들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앞으로 약용에게 관각(館閣)의 일을 맡기려고 먼저 그 뜻을 보인 것이다" 라고 하셨다.

이 해 봄에 약용이 23)회시(會試)의 일소(一所) 동고관(同考官)이 되었는데 합격자를 발표하고 보니 남인(南人)으로 진사가 된 사람이 50여 명이었다. 이에 시배(時輩)들이 어긋난 소리로 내가 사심으로 자기 당을 구제했다고 말하니, 임금께서 들으시고 매우 성을 내시며 다른 일을 가지고 하옥(下獄) 하여 10여 일에 이르게 하고 심하게 꾸짖으며 방자하고 거리낌없는 사람 이라고 했다. 그리고는 유시하기를 "평생에 다시는 시험관 노릇 하지 말라" 하셨고 또 이조(吏曹)로 하여금 관직을 주지 못하게까지 하셨다.

그런 후 며칠 뒤에 임금이 춘당대 (春塘臺)에서 과거 시험을 보이는테 특별히 나를 대독관(對讀官)으로 삼았다. 약용이 황공하여 어찌할 바를 몰라 하니 임금이 채홍원(蔡弘遠)에게 말씀하시기를 "내가 뒤에 알았다. 남인으로 함께 뽑힌 사람이 모두 이소(二所)에서였으며 정약용은 일소(一所)를 맡았다. 사심으로 한 일이 없었다"라고 하셨다. 그리고는 규영부(奎瀛府)에 들어가 근무하며 이만수 ·이가환 ·이익운 ·홍인호 ·서준보(徐俊輔) ·김근순(金近淳) ·조석중(曺錫中) 등과 함께 『화성정리통고(華城整理通考)』를 편찬하라 하셨으니 ㅜ내가 담당한 분야가 특별히 많았었다.

며칠 후에 상원(上苑)에서 백화가 만발하자 임금께서 영화당(映花堂) 아래서 말을 타시며 내각의 신하 채제공 이하 10여 인과 나와 6, 7인도 모두 말을 타고 따르라 하여, 임금을 호위하며 궁궐의 담을 돌아서 석거문(石渠門)에 이르러 말에서 내려 농산정(籠山亭)으로 돌아 들어가 물굽이에서 연회를 베풀었다. 모든 궁궐 안 동산에 있는 수석(水石) ·화훼의 뛰어난 경관과 궁중에서 사용하는 책상, 비장된 도서 등 구경하지 않은 게 없었다.

또 임금이 행차를 옮겨 서총대(瑞蔥臺)에 이르러 활을 쏘시며 여러 신하들에게 구경하게 하였고,석양 무렵쯤 부용정(芙蓉亭)에 이르러 꽃을 구경하고 고기를 낚았다. 그러면서 우리들에게 태액지 (太液池)에서 배를 타고 시를 읊게 하셨다. 저녁밥을 마치고 궁중에서 사용하는 초를 하사받고 모두 돌아왔었다.

며칠이 지나서 임금이 세심대 (洗心臺)에 행차하여 꽃을 구경하셨는데 내가 또 따라갔었다. 술이 한 바퀴 돈 후 임금께서 시를 읊으시고 여러 학사들에게 임금의 시에 화답하는 시를 짓도록 하셨다. 내시(內侍)가 채전(彩?) 한 축을 올려바치니 임금께서 나에게 임금이 계시는 장막 속에 들어와 시를 베끼도록 명령하셨다. 내가 임금님 바로 앞에서 붓을 뽑아들고 글씨를 쓰려는데 임금께서 지세가 고르지 못하니 두루마리 종이를 임금님의 책상 위에다 편편하게 놓고서 글씨를 쓰라고 하셔 내가 머리를 조아리며 감히 나아가지 못하고 있었더니, 임금께서 급히 독촉하여 내가 마지못해 명령대로 책상 위에 놓고 글씨를 썼다. 임금께서 모든 글자를 바싹 다가서서 보시고는 잘 썼다고 칭찬해 주셨으니 나를 대해 주시던 일이 이와 같았었다.

여름 4월에 중국의 소주(蘇州) 사람 주문모(周文謨)가 변복을 하고 몰래 들어와서 북악산 아래 숨어서는 서교(西敎)를 몰래 펴고 있었다. 진사 한영익 (韓永益)이 그걸 알아내서는 이석(李晳)에게 말하자 나도 그 이야기를 들었다. 이석이 채상공(蔡相公)에게 알리자 채공이 임금에게 은밀히 아뢰고는 포도대장 조규진(趙圭鎭)에게 체포하라고 명령하였다. 주문모는 놓쳐버리고 최인길(崔仁吉) ·윤유일(尹有一) 등 3인을 붙잡아 장살(杖殺)해 버렸다.

목만중(睦萬中) 등이 선동을 하고 뜬소문을 퍼뜨려서 이 사건을 트집잡아 착한 무리들을 완전히 구렁텅이에 빠뜨리려 하고는 음험하게 박장설(朴長卨)을 사주하여 상소를 올리게 하였다. 상소문에서 이가환을 무고하였으니, 내용인즉 "정약전(丁若銓)이 경술년의 회시 때 지은 책문(策文)의 답변에 오행(五行)을 사행(四行)으로 하였어도 이가환이 뽑아서 회원(會元)으로 했다" 라고 했다. 임금이 그 대책문(對策文)을 읽어보시고 무고임을 살피시고 유시를 내려 잘잘못을 가리고는 박장설을 육지의 끝 변두리로 유배시켰다

그러자 악당(惡黨)들이 유언비어를 날마다 퍼뜨리니 당시의 재상, 세력 있는 집안에서 이런 일을 귀에 익게 들어서 말하기를 "이가환 등이 주문모 사건에는 참으로 밑바탕이니 죄를 주지 않으면 안된다" 라고들 했다. 임금이 괴로워하시다 가을에는 이가환을 충주목사(忠州牧使)로 좌천하고 나를 금정 찰방(金井察訪)으로 좌천하여 임명하고 이승훈은 예산현(禮山縣)으로 유배를 보내며 그 날 유시를 내리기를 "그가 만약 눈으로 성인의 책이 아닌 걸 읽지 않고 귀로 상도에 어긋나는 말을 듣지 않았다면 죄 없는 그의 형 (若銓)이 벌을 받았겠느냐? 그가 만약 뛰어난 문장을 쓰고 싶었다면 육경(六經) 과 양한(兩漢)의 문장이 좋은 모범이 될 터인데, 기이(奇異)를 힘쓰고 새로운 것만 찾다가 몸과 이름을 낭패보기에 이르렀구나! 무슨 버릇인가! 비록 그의 행적이 완전히 탄로되지 않았다 하더라도 사건의 깊고 얕음을 캐냈으니 그 죄가 판명된 것이다.

만약 선으로 마음이 향해 그가 이로 인해 스스로 뉘우친다면 그에게 있어서는 다 훌륭한 인재로 되는 길이다. 전 승지 정약용을 금정찰방으로 제수하니 즉각 출발해서 목숨이나 살아 한강을 넘어 올 방법을 도모케 하라" 고 하셨다.

금정(金井)은 홍주(洪州)에 있는 곳으로 역속(驛屬)들이 대부분 서교를 믿고 있었다. 임금께서 나로 하여금 잘 회유시켜 금지시키도록 하려는 뜻에서였다. 내가 금정에 도착하여 그곳의 세력가들을 불러다가 조정의 금령(禁令)을 거듭거듭 설명해 주고 제사지내는 일을 권고하였더니, 사림(士林)들이 듣고는 사태를 바꿀 만큼의 효과가 있었다고들 했었다.

이 무렵에 목재(木齋) 이삼환(李森煥)에게 청하여 온양(溫陽)의 24)석암사(石岩寺)에서 모임을 가졌는데 그 때에 내포(內浦) 지방의 이름난 집안의 자제로 이광교(李廣敎) · 이명환(李鳴煥) ·권기(權夔) ·강이오(姜履五) 등 십여 명이 소문을 듣고 모여들어 25)매일수사(洙泗)의 학문을 강론하고 성호 선생의 문집을 교정하면서 열흘만에 마쳤다.

또 북계(北溪) 윤취협(尹就協)과 방산(方山) 이도명 (李道?)을 방문하였는데 모두 뜻이 높은 선비들이었다. 겨울에 임금의 특명으로 내직으로 옮기게 되었는데 이 때 이정운(李鼎運)이 충청도 관찰사가 되어 나갔다. 전 관찰사 유강(柳可)이 이존창(李存昌)을 체포하여 말하기를 그 일을 나와 함께 모의한 일이라 하였으니, 공로가 나에게 돌아가 발탁되게 하려는 뜻에서였나 보다. 임금께서 그 이야기를 듣고는 이정운에게 은밀히 유시하여 부임한 즉시 자세히 올려바치게 하였으니, 나로 하여금 그것 때문에 진로가 열리게 하려 했던 것이다.

이익운(李益運)이 또 전해주기를, 임금이 유시하기를 "약용으로 하여금 사실을 열거해서 이정운의 이야기와 부합하게 하라" 고 하셨다기에 내가 말하기를 "그럴 수는 없다. 사군자(士君子)가 몸을 세우고 임금을 섬길 때 비록 이징옥(李澄玉)이나 이시애(李施愛)를 체포했다 하더라도 오히려 그런 것으로 자기의 공로를 삼지 않는 것인데, 하물며 그 따위 조그만 놈을 잡아서 그렇게 하겠는가. 그리고 그자를 체포하려 모의하거나 계획을 꾸몄던 게 없었는데 이제 야 보라는 듯이 과장해서 찬양하여 임금의 혜택을 얻어내려 하는 일은 죽어 도 못할 짓이다" 라고 하여 임금의 뜻이라도 나를 부끄럽게 해주는 일에는 애걸해도 따르지 않았더니, 이익운이 겸연쩍은 듯이 가버렸다. 모두들 이것 때문에 임금의 뜻을 어겼다고까지 말하기도 했었다.

그 후에 김이영(金履永)이 금정 찰방으로 보직을 받고 나갔다가 돌아와 내가 금정에 있으며 성심으로 계도하였고 또 직무 중 청렴하고 근엄하게 하였다고 아뢰자 심환지(沈煥之)가 임금께 상주하기를 "정약용이 군복사(軍服事) 때문에 특명으로 관리에 추천하지 못하도록 되어 지금까진 풀리지 못하고 있는데 그 사람을 등용시키는게 옳습니다. 또 금정에 있을 때 백성을 많이 계도하였으니 다시 임용하기를 청합니다." 라고 하자 임금이 허락하셨다.

병진년(丙辰年:35세, 1796) 봄에 형조(刑曹)에서 올린 기록 때문에 임금이 유시하시기를 "요즘 연신(筵臣)들의 이야기를 들으니 내포(內浦) 일대에 찰방으로 외직나간 사람이 성심껏 백성을 깨우쳐 괄목할 만한 효과가 있었다 하니 중화척(中和尺)을 특사한다" 라고 하시고 임금이 지은 시 두 편을 내리시고는 나에게 화답하여 올리게 하였다. 가을에 임금께서 26)검서관(檢書官) 유득공(柳得恭)을 보내어 『규운옥편 (奎韻玉篇)』의 의례(義例)에 대하여 이가환과 나에게 상의하도록 하였으며, 겨울이 되자 나를 부르셔 규영부에 들어가 이만수 · 이재학(李在學) ·이익진 (李翼晋) ·박제가(朴齊家) 등과 함께 『사기영선(史記英選)』을 교정하도록 하셨다.

출판할 책의 이름을 결정하는 데 자주 참여하도록 해주셨고, 날마다 진귀한 선물과 맛있는 음식으로 배불리 먹게 해주셨다. 또 자주 쌀이나 땔감 ·링 ·젓갈 ·홍시 ·귤 등 과일 및 아름답고 향기로운 보물들을 하사해 주셨다. 12월에는 병조참지(兵曹參知)에 제수하셨고 이어서 우부승지(右副 承旨)로 옮겨 좌부승지로 승진시켜 주셨다.

정사년(다산 36세, 1797) 봄에 27)대유사(大酉舍)에 불리어가서 식사를 대접받고 화식전(貨殖傳) ·원앙전(袁?傳)의 의심나는 문제에 대하여 논의를 받고 답하였으며, 임금의 명을 받고 외각(外閣)에 나가 이서구(李書九) ·윤 광안(尹光顔) ·이상황(李相璜) 등과 함께 『춘추좌씨전(春秋左氏傳)』을 교정하였고, 또 성균관에서 보는 시험의 대독관(對讀官)이 되었다. 임금의 명령으로 고시관이 되었음은 딴 사람에 비하여 유독 자주 있던 일이었다.

 

6월에는 다시 승정원에 들어가 동부승지가 되었는데 28)사직 상소를 올려 얽힌 문제의 앞뒤를 투철하게 진달하여 서교 문제로 비방받던 까닭에 대하여 자세히 말씀드렸다. 간략히 말하면 "말을 박절하게 않으려 해서 간서 (看書)라고 하는 것이지 참으로 책만 보고 멈춰버렸다면 어찌 죄라고 하겠습니까. 애초부터 마음속에 기뻐서 즐거워 사모하듯 했고 처음부터 치켜세우며 여러 사람들에게 자랑하며 과시하기도 했습니다. 마음의 본바탕에 처음부터 기름이 엉키고 물들고 뿌리박고 가지가 얽혀 있듯이 했으면서도 스스로 깨닫지 못했습니다" 라는 내용으로 반복해서 수천 마디의 이야기를 했었다.

임금이 답변을 내리시기를 "착하겠다는 단서(端緖)의 움이 분명하여 봄에 만물이 솟아나는 부르짖음같이 모든 글 내용이 조리 있어 말을 듣고 느낌을 주기에 충분하다" 라고 하셨다. 다른 연신(筵臣)들도 또한 나를 위해서 말해 주는 사람이 많았다. 29) 임금께서 가상하게 여겨 권장해 주시려는데 마침 곡 산 도호부사(谷山都護府使)가 잘못으로 바뀌게 되자 임금이 어필로 나의 이름을 써서 나에게 임명장을 주셨다.

임금이 말씀하기를 "지난번에 상소한 글은 이야기 내용도 좋았지만 마음씨도 밝았으니 참으로 다시 변하진 못하리라, 정말로 한번 올리어 쓰고 싶었지만 의론들이 귀찮도록 많으니 무엇 때문인 줄 모르겠다. 그리고 근심하고 슬퍼하는 모습을 거두어라. 1, 2년이 더 늦더라도 괜찮을 것이다"라고 하셨으니, 떠날 때 다시 불러서 근심과 슬 픔을 보이지 말라고 하심이었다. 그때 세력을 잡은 자로 참소하고 질투하는 자가 많아 임금의 뜻은 내가 몇년 외직에 근무하도록 하여 그 불길을 식히려 함이었다.

전에 임금이 김이교(金履喬)·김이재 (金履載)·홍석주(洪奭周) ·김근순(金 近淳) ·서준보(徐俊輔) 등 여러 신하로 하여금 『사기선찬주(史記選簒註)』를 편찬케 하여 이미 올려바치었는데, 그 책의 내용이 번거롭고 심오한 탓으로 줄여서 바르게 하려던 생각이셨는데 이때서야 임금이 말씀하기를 "곡산은 한가한 고을이다. 그곳에 가면 그 일을 해다오"라고 하셔 내가 명령을 받고 물러와 매일 공문서를 처리한 틈틈에 깊고 넓고 정밀하게 연구하여 휜 것과 뒤틀린 것을 바로잡아 완성한 후에 내각을 통해 올려바치게 했더니 이만수가 전해주기를 "책을 올리자 칭찬이 있었다"라고 했다.

곡산 사람에 이계심 (李啓心)이란 사람이 있었는데 백성들이 당하는 괴로 움에 대하여 말하기를 좋아하는 성격이었다. 지난번의 도호부사가 재직하고 있을때 포수보(砲手保) 면포 1필 대금으로 돈 900문씩을 거두어 들였는데 이계심이 백성 천여 명을 인솔하고 관청에 들어와 항의하자 부사가 벌을 주려 하니 천여 명이 벌떼처럼 일어나 이계심을 둘러싸고 계단으로 올라가며 소리를 지르니 천지가 동요하게 되었다. 아전과 관노배들이 몽둥이를 들고 쫓아내자 이계심은 달아나버려 오영(五營)에서 기찰하여 붙잡으려 해도 붙잡지 못하고 있었다.

내가 부임차 곡산 땅에 이르니 이계심이 백성들의 괴로워하는 사항 10여 조목을 들어 기록하여 올려바치고는 길가에 엎드려 자수하였다. 옆사람들이 체포하기를 청했으나 내가 말하기를 "그러지 말라. 한번 자수한 사람은 스스로 도망가지 않는다"라고 하여 석방시키면서 말하기를 "관장이 밝지 못하게 되는 이유는 백성이 자기 몸을 위해서만 교활해져 폐막을 보고도 관장에게 항의하지 않기 때문이다. 너같은 사람은 관에서 마땅히 천냥의 돈을 주고라도 사야 할 사람이다"라고 하였다. 그런 후에 는 서울 군영에 상납해야 할 모든 포목은 내가 친히 면전에서 자(尺)로 재어 받아들였다.

곡산 향교에 『국조오례의(國朝五禮儀)』가 있었는데 그 책에는 포목을 재는 자의 그림이 실려 있었다. 그림의 자와 그때 사용하던 자와 비교해 보니 차이가 2촌(寸)이나 있었다. 그래서 자의 그림에 맞도록 새로 자를 제작하 여 서울 군영에서 사용하는 구리자(銅尺)와 일치케 하여 면포를 거두어들였더니 백성들이 편하게 여겼었다.

그 이듬해에는 포목이 더욱 귀하게 되자 나는 칙수전(勅需錢)과 관봉전(官俸錢) 2천 냥을 풀어서 평안도에 가서 포목을 사다가 서울에 바칠 것을 충당하였고 그 가격을 백성들에게 징수해서 채웠으니, 모두 해야 한 집에 200푼이 넘지 않아서 백성들은 호마다 송아지 한 마리를 얻은 셈이었다.

국법에는 대개 창곡(倉穀)은 반드시 순차로 나누어 배급하도록 하였으나 더러는 여덟번 아홉번까지 나누어 배급하는 경우가 있었다. 나는 매 초하루 에 몇개 면(面) 사람들을 불러다가 한꺼번에 다 타가게 하여 그 번거로움과 비용을 줄여주고 왔다갔다 하는 불편을 간략하게 했다.

무오년(1798) 겨울 환곡을 거두어들이는 일이 거의 끝났는데 재신(財臣) 정민시(鄭民始)가 곡산에서 쌀 7천 석을 팔게 하도록 주청하였다. 이 해는 대풍년이어서 쌀값이 1곡(斛 : I5말이다. - 原註)에 200푼 정도인데 상정 (詳定)한 가격이 420푼이나 되었다. 내가 조목별로 이해를 가려 상급 관청에 보고하고는 백성들을 독촉하여 양곡을 모두 수납하고 창고를 닫고 기다리고 있었다.

정민시가 다시 주청하기를 "나라가 나라인 것은 기강 때문입 니다. 저희들이 주청하여 임금께서 허락하셨고 감사가 발표한 일을 수령 (守令)이 성깔을 내고 따르지 않는다면 어찌 나라가 되겠습니까"라고 하여 나에게 죄를 주어 징계할 것을 청하였다.

임금께서 본래 올려바친 보고문을 가져다 읽어보시고는 "옛날에 양곡과 세금을 담당한 신하들은 팔도의 시장가격을 두루 알아 값이 싸면 사들이고 값이 비싸면 곡식을 방출하는게 법이었다. 그런데 지금 경 (卿)은 시장가격이 싼데 비싸게 팔라고 하니 약용이 따르지 않음은 옳지 않은가" 라고 하였다.30)

무릇 호적을 정리하는 해가 되면 아전들이 백성을 위협해 호구 수를 늘리도록 하고 백성들은 부산하게 뇌물을 바쳐 호구 수를 늘리려 하지 않기 때문에 본래부터 가난한 마을은 뇌물을 바치지 못해 호구 수는 늘어만 가서 마을은 갈수록 말라빠지고 돈이 있는 마을은 호구 수가 늘지 않으므로 더욱 부자가 되어 백성들의 살림이 균등하지를 못했다.

내가 먼저 침기부(砧基簿)를 수정하고 31)종횡표(縱橫表)를 작성하였으며, 또 지도를 그리고 경위선(經緯線)을 만들어놓아 백성들의 허와 실, 강하고 약함, 지역의 넓고 좁음, 멀고 가까움을 상세히 알 수 있게 하였다. 이렇게 하여 적감(籍監) 적리(籍吏)를 없애버리고 관장이 호액(戶額)의 증감을 실정에 맞도록 할 수 있었다. 며칠이 안되어 호적단자(戶籍單子)가 일제히 들어왔는데 한 사람도 억울함을 하소연 해 오는 사람이 없었다.32)

향갑(鄕甲)이 군정(軍丁)의 명단을 올릴 때마다 내가 몰래 그 사람의 딱한 처지를 알아내 가지고는 즉석에서 소리내어 꾸짖기를 "모 농민은 새로 모 군(郡)에서 이사오고 홀아비인데다 절뚝발이 병신인데 어떻게 군포(軍布)를 물겠는가"라고 하면 향갑이 깜짝 놀라 다시는 그런 말을 못하고 말았다.

나는 이미 침기표 (砧基表)를 보고 그 집의 사정을 알아두었던 것이지 특별한 술포(術數)를 써서 그러했던 것은 아니었다. 절도사(節度使) 정학경(鄭學?)이 허록(虛錄)과 백골(白骨)의 군정(軍丁) 을 뽑는 데 대해서 신칙하려고 하자 내가 말하기를 "왜 그런 일을 하려 합니까. 군포란 허록(虛錄)보다 더 좋은 것이 없고 군적은 백골보다 더 좋은 것이 없는데 괜히 일거리를 만들지는 마십시오"라고 했더니, 정학경이 잘 이해하지를 못하자 내가 다시 말하기를 "군포계(軍布契)와 역근전(役根田) 이 있는데 이는 호포(戶布)입니다. 호포란 국가에서도 곧장 시행하고 싶어 하나 되지 않는 겁니다. 그것을 백성들이 스스로 하고 있는데 무엇 때문에 어지럽게 만들렵니까"라고 했더니, 그때서야 알아듣고 그만두어버렸다.33)

곡산의 정당(政堂)을 새로 짓고 다른 관청의 건물들을 수리했으며 모든 창고 모든 청사의 예규(例規)의 문서들을 파기해버리고 새로 조례를 만들어서 시행케 하였다. 전에는 관공서 비용이 부족하면 다시 백성들에게서 거두어들였는데 이 때부터는 충분히 남아 돌아갔다. 그 뒤에 부임한 사또들이 조례를 고치고자 했으나 아전이나 백성들이 물고 늘어져 한 조목도 끝내 고치지 못했다고 한다.

무오년(37세, 1798) 겨울 12월에 괴상한 질병이 갑자기 평안도 쪽에서 들어와 내가 먼저 앓아 누웠다. 고을의 노인들이 걸리기만 하면 틀림없이 죽어 갔는데 며칠이 못가 울음소리가 온 주변을 진동케 했다. 내가 백성들에게 권해서 서로 도와 병을 낫게 하거나 급한 대로 곡식을 풀어 주기도 했고, 또 주인 없는 시체들은 장사 지내서 매장시켜 주도록 했다.

새해(己未:38세, 1799)가 되자 내가 아직 요를 둘러쓰고 있으면서 칙수감리(?需監吏)를 불러서 백천(白川)의 강서사(江西寺)에 가서 진 곳에 까는 화문석을 사오게 했다. 모두가 깜짝 놀라며 알아차리지 못하고 "칙사가 옵니까"라고 해서 "그렇지 않다"라 하고는 빨리 가서 사오기나 하라 하니, 아전이 가서 사가지고 오는 도중에 평산(平山)에 도착하였는데,의주(義州) 에서 파발말이 나는 듯이 달려가며 "황제가 죽어 칙사가 왔다"라고 하였다. 아전이 고을에 돌아와 소문을 내자 온 마을이 깜짝 놀라 야단법석이었다. 내가 말하기를 "이상할 것이 없다. 돌림병이 서쪽으로부터 왔으며노인들이 다 죽는것 을 보고 알았다"라고 했다.34)

봄에 임시로 호조참판(戶曹參判)의 직함을 띠고 황주(黃州)에서 영위사(迎慰使)가 되어 50여 일을 머물렀다. 임금께서 은밀하게 유시를 내려 나로 하여금 황해도 내 수령들의 잘잘못과 사신 접대로 인한 여러 폐단 등을 염찰(廉察)토록 하셨으니, 수령이 수령을 염찰토록 해주신 일도 퍽 드문 일이었다.

전에 황해도 내에는 해결치 못한 옥사(獄事)가 두 건이나 있었는데 내가 임금께 은밀히 올려바쳤더니 임금이 감사에게 유시하여 조사토록 하니 감사 이의준(李義駿)이 나를 차출해다가 조사케 하였기에 두 옥사가 모두 해결을 보았다. 마침 여름에 가뭄이 심하자 임금께서 여러가지의 미결된 옥사들을 심리하고 싶으셔 내가 재판한 내용에 대하여 칭찬해 주던 일을 생각해내고는 마침내 병조참지(兵曹參知)를 제수하시고 올라가는 도중에 동부승지(同副承旨) 로 바꾸고 서울에 들어가자 형조참의(刑曹參議)로 제수하셨다.

어전에 오르니 임금께서 형조판서 조상진에게 말씀하시기를 "경은 이제 늙으셨소. 참의는 나이가 젊고 매우 총명하니 경은 마땅히 높은 베개를 베고 쉬면서 모두 참의에게 넘기시요"라고 하셨다. 판서가 이 유시를 듣고는 모든 일반 범죄 사건이나 판결지어야 할 상소사건을 위임하자 내가 옥사를 당당히 해결해 내었다.

어떤 무식한 농부가 억울하게 걸려 옥사가 매우 오래 끌며 판결나지 않는 사건이 있었는데, 내가 초검(初檢) 과 재검(再檢)의 조서를 검토하여 그 억울함을 밝혀냈더니, 임금께서 형조(刑曹)에 명하여 의관을 지급해 주고 석방하라고 하셨다.35)

무신 이성사(李聖師)가 계집종 하나를 샀는데 성사가 죽어버리자 소송이 일어났다. 때마침 사헌부의 진언이 임금을 격노케 하여 명령하기를, 성사의 손자 모(某)를 잡아다가 장형(杖刑) 100을 내리도록 하니, 임금의 위엄에 눌려서 형을 집행하려고 하면서 형조 전체가 겁을 먹고 있기에 내가 말하기를 "참으로 고문을 참혹하게 하면 죽을 뿐입니다. 선비를 죽이는 것은 임금의 뜻이 아닐 겁니다" 라고 하고 주의시켜 매의 숫자만 채우고 그치게 하고, 그의 무죄임을 말씀드렸더니 임금의 마음이 풀어졌던 일도 있었다.

간사한 백성이 한 사람 있어 나라에 바치는 공물(貢物)을 이중으로 팔아먹고 핑계대기를 "주권(株券)이 화성(水原)에 있어 얻을 수가 없었습니다" 라고 하기에 내가 국문(鞠問)을 받게 하고는 "쥐새끼 같은 놈이 감히 화성에 빙자해서 36)성호사서(城狐社鼠)를 하려고 하니 되겠느냐?" 라고 호령하니 이틀 만에 주권이 이르렀었다.

하루는 임금께서 말씀하시기를 "네가 황해도로부터 왔으니 당연히 그곳의 고질적인 병폐를 말해야 한다"라고 하셔서 나는 초도(椒島)의 둔전(屯田)에 있는 소(牛)의 문제를 말씀드렸더니, 임금이 즉각 명령을 내려 모든 소의 장부를 없애버리게 하였다. 또 중국 칙사 영접에서 오는 여러 가지 폐단을 말씀드렸더니 임금께서 "정승 이시수(李時秀)가 새로 원접사(遠接使)로 나가니 그가 갈 때 의론하라"고 하시고 마침내 드는 비용의 모두를 문서로 적어서 보고하도록 명령하시었다.37) 이 무렵 임금님의 보살핌과 관심을 가져주심이 날로 깊어져 밤이 깊어서야 문답이 끝나고 하니 좋아하지 않는 자들이 시기를 했었다. 홍시보가 나에게 말하기를 "자네 좀 조심하게, 우리 청지기에 옥당의 아전이 된 자가 있는데 말하기를 '야밤에 정공(丁公)의 야대(夜對)가 끝나지 않으면 옥당에서 아전을 보내 엿보느라 걱정되어 잠을 자지 못합니다'라고 하데 그려. 자네는 그런 걸 감당하겠나"라고 하였다.

며칠이 못되어 대사간 신헌조(申獻朝)가 계(啓)를 올려 권철신(權哲身)에 대하여 논죄하고 이어서 나의 형 약종(若鐘)의 일을 아뢰자 계가 끝나기도 전에 임금이 성을 내며 꾸짖으셨다. 조보(朝報)에는 그런 내용이 없어 나는 그런 사항도 모르고 있었는데 사헌부의 대관(臺官) 민명혁(閔命爀) 이 또 약용이 혐의(嫌疑)를 무릅쓰고 벼슬살이하고 있다는 상소를 올렸기에 나는 병이 남을 이유로 나가지 않아 달이 넘어 교체가 되었다.

겨울에 서얼 출신 조화진(趙華鎭)이라는 자가 급변(急變)을 상고하니, 내 용인즉 "이기환·정약용 등이 음험하게 천주교를 주장하며 제도에 벗어난 짓을 음모하고 있고 한영익(韓永益)은 그들의 심복이 되어 있다"라고 했었다. 임금이 그것은 무고임을 살펴내고 그 변서(變書)를 이가환 등에게 돌려 보도록 하고 또 말씀하시기를 "한영익은 38)북산사(北山事)를 올려바친 사람인데 어떻게 심복이 되겠는가"라고 하셨고, 내각의 신하 심환지(沈煥之), 충청도 관찰사 이태영(李泰永)이 모두 무고라고 하자 일은 끝나버렸다. 조화진이 전에 한영익에게 구혼을 했었는데 한영익이 들어주지 않고 그 누이 를 나의 서제(庶弟) 약황(若 )에게 시집 보냈는데, 이런 일 때문에 한영익을 죽일 속셈으로 나까지 끌고 들어간 것이었다.

임금이 책 한 권 읽기를 다 끝마치면 태빈(太嬪)이 음식을 준비하여 세서례(洗書禮)를 하셨으니, 일반 민간들의 어린이들이 책을 다 배우면 책씻이 하던 것을 따라서 하신 일이다. 이 일에 대하여 임금이 시를 짓고 나로 하여금 화답시를 짓게 하자 화답했었다.

경신년(39세, 1800) 봄에 나는 참소하고 시기하는 사람이 많음을 알고 고향으로 낙향하여 칼날을 피하려고 처자식을 거느리고 마현(馬峴) 의 고향으 로 돌아가 버렸다. 며칠이 지나지 않아 임금께서 들으시고 내각을 시켜 급히 나를 부르신다 하기에 돌아와 보니, 임금께서 승지를 통해 유시해 주시기를 "규영부는 이제 춘방(春坊)이 되니 처소를 정하기를 기다려 들어와 교서(校書)의 일을 하게 하라. 내가 어찌 그를 놓아두겠느냐"라고 하셨다 한다.

여름 6월 12일 마침내 달밤이어서 한가하게 앉아 있었더니 문을 두드리는 사람이 있어 들어오도록 하니 내각의 아전이었다. 『한서선(漢書選)』 10질을 가져왔는데 하는 말이, 임금께서 유시하시기를 "오래도록 서로 보지 못했다. 너를 불러 책을 편찬하고 싶어서 주자소(鑄字所)를 새로 벽을 발랐으니 그믐께쯤 경연에 나을 수 있을 것이다"라고 하셨다 하니, 위로의 말씀이 대단하셨다. 또 "이 책 5질은 남겨서 가전(家傳)의 물건을 삼도록 하고 5질은 제목의 글씨를 써서 돌려보내도록 하라" 하셨다 한다. 아전이 말하기를, 유시를 내리실 때 얼굴빛이 못 견디게 그리워하는 듯하셨고 말씀도 온화하고 부드러워 다른 때와는 달랐다고 하였다.

아전이 나가자 감격하여 눈물을 흘리고 마음이 동요되어 어찌할 줄 몰라 했는데, 그 다음날부터 임금의 건강에 탈이 났고 28일에 이르러 하늘이 무너지고 말았다. 그날 밤에 하인을 보내 책을 하사해 주시고 안부를 물어주신 것이 끝내는 영결의 말씀이었고 임금과 신하의 정의(情誼)는 그날 밤으로 영원히 끝나고 말았다.

나는 이 일에 생각이 미칠 때마다 눈물이 홍수처럼 쏟아짐을 참지 못하곤 한다. 임금이 승하하신 날 급보를 듣고 홍화문(弘化門) 앞에 이르러 조득영(趙得永)을 만나 서로 가슴을 쥐어뜯고 목놓아 울었었다. 임금의(棺)이 빈전(殯殿)으로 옮겨지는 날에는 숙장문(肅章門)옆에 앉아 조석중(曺錫中)과 함께 슬픔을 이야기하였다.

공제(公除)의 날이 지난 뒤부터 점차 들리는 소리는 악당들이 참새 떼 뛰듯 날뛰며 날마다 유언비어와 위험스러운 이야기를 지어내고 사람들의 귀를 현혹시키고 있다 했다. "이가환 등이 앞으로 난리를 꾸며 4흉 8적 (四凶八賊)을 제거한다"는 이야기까지 꾸며대고는 그 네 명과 여덟 명의 이름에 절반은 당시의 재상들과 명사들의 이름이 끼여 있었고 절반은 자기네들 음험한 무리들의 이름을 끼여 넣고는 당시의 사람들에게 분노를 격발 시키게 하고 있었다.

나는 화란의 낌새가 날로 급박해짐을 헤아리고 곧바로 처자를 마현으로 돌려보내고 혼자 서울에 머무르며 세상 변해감을 관찰하고 있었다. 겨울에 임금의 졸곡(卒哭)이 지나자 영영 열상 (洌上)으로 낙향해버리고는 오직 초하루나 보름날의 39)곡반(哭班)에 참가할 뿐이었다.

신유년(순조 1년, 40세, 1801)에 태비(太妃)가 유시를 내려 서교를 믿는 사람은 코를 베고 멸종시켜버린다는 경고를 하였다. 정월 그믐 하루 전날 이유수(李儒修)·윤지눌(尹持訥) 등이 편지를 보내 책롱사(冊籠事)40)를 알려오자 나는 즉시 서울로 달려 들어왔다.

이른바 책롱이라는 것은 5,6사람의 편지들이 섞인 문서인데 그 중에는 나의 집안 편지가 들어 있었다. 윤행임 (尹行恁)이 그러한 상황을 알아내서 이익운(李益運)과 의논, 유원명(柳遠鳴)을 시켜서 상소하여 나를 붙잡아다 조사를 하여 나와 관계 없는 일임을 밝혀내 화봉(禍鋒)을 미리 꺾어버리자고 하였고, 최헌중(崔獻重) ·홍시보 (洪時보) ·심규(沈逵) · 이석 (李晳) 등이 애쓰며 권하기를 그렇게 받아들여서 앞으로 전화위복이 되게 하라 하였지만 내가 받아들이지 않았다.

2월 8일 사헌부와 사간원에서 죄상을 적어 임금께 올리어 국문(鞠問)을 청하게 되자 이가환 ·정약용· 이승훈이 모두 투옥되었고 나의 형 약전과 약종 및 이기양(李基讓) ·권철신 ·오석충(吳錫忠) ·홍낙민(洪樂敏) ·김건순(金 健淳) ·김백순(金伯淳) 등이 차례로 투옥되었다. 그러나 그 문서 뭉치 중에서는 내가 관계 없음이 분명히 드러났다. 이어서 헝틀에서 풀어주고 사헌부 안에서 편히 있게 해주었다.

여러 대신들이 모여 의론을 하고 있었는데 옥사의 위관(委官)인 이병모(李秉模)가 말하기를 "자네는 앞으로 무죄로 풀려 날 걸세. 음식도 많이 들며 몸을 아끼시게"라고 했고, 심환지 (沈煥之)가 말하기를 "쯔쯔, 혼우(婚友)가 운명이 어찌 될지 알 수 없구나"라고 했다. 지의금(知義禁) 이서구(李書九), 승지 김관주(金觀柱) 등도 공정히 판결하여 용서될 거라고 했고, 국문할 때 참관했던 승지 서미수(徐美修)가 은밀히 기름 파는 노파를 불러다가 재판 소식을 나의 처자에게 전해 주라고 하면서 나의 죄질은 가벼워 죽을 걱정은 없으니 식사를 하게 하여 살아나게 하라고 시킨 일까지 있었다.

여러 대신들이 모두가 무죄로 풀어줄 것을 의론했으나 오직 서용보(徐龍輔)만이 고집을 부려 안된다고 해서, 나는 장기현(長 縣) 으로 유배당하고 헝님 약전은 신지도(薪智島)로 유배형을 받았다. 약종뿐만이 아니라 나머지 사람들, 이가환 ·권철신 · 이승훈 ·김건순 ·김백순 ·홍낙민은 살아남지 못했다. 오직 이기양은 단천(端川), 오석충(吳錫忠)만은 임 자도 (荏子島)로 유배를 당했다.

이때 악당들이 내가 죽지 않는다는 것을 알고는 헝클어진 편지뭉치 속의 41)삼구(三仇)의 학설을 억지로 뜯어 맞추어 정 (丁)씨 집안의 문서에 있는 흉언(凶言)이라고 무고하여 마침내 약종에게 극형을 추가함으로써 내가 42) 재기할 수 있는 길까지를 막아버렸다. 그러나 고(故) 익찬(翊贊) 안정복(安 鼎福)의 저서에 분명히 삼구(三仇)의 해석이 있으니, 우리 집안에서 만든 말이 아니고 보면 그거야말로 무고임이 분명했다.

이 해 여름에 옥사(獄事) 가 더욱 확대되어 왕손(王孫) 인(인), 척신 홍낙임 (洪樂任), 각신 윤행임 (尹行恁) 등이 모두 43)사사(賜死)당하였다. 내가 장기에 도착하자 「기해방 례변(己亥邦禮辨)」을 지었고 『삼창고훈(三倉?訓)』을 연구해내고 『이아술 (爾雅述)』 6권을 저술하였고, 수많은 시를 읊으며 스스로 걱정과 근심을 견디며 지냈다.

겨울이 되어 역적 황사영(黃嗣永)이 체포되자 악인 홍희운(洪羲運 :樂 安) 이기경 등이 백 가지 계책을 동원하여 조정을 공갈 협박하기도 하고, 자기들이 자원해서 사헌부의 벼슬자리에 들어가기도 해서는 발계(發啓)하여 다시 국문하자고 청하여 약용 등을 기어코 죽이고야 말겠다는 것이었다.

홍희운이란 자는 낙안의 바꾼 이름이다. 이때 정일환(鄭日煥)이 황해도로부터 들어와 "정모(丁某)는 서쪽지방에서 백성을 아끼는 정치를 남겼으니 죽여서 는 안된다"고 세차게 발언하였고, 또 죄인의 공초(供招)에 이름이 나오지도 않았는데 체포해 오는 법은 없다고 심환지에게 국문하자는 요구에 동의하지 말라고 권했으나, 심환지가 태비에게 청하여 봄철 대간(臺諫)의 계사(啓辭) 를 윤허받았다. 이에 약전·약용 및 이치훈(李致薰)·이관기 (李?基)·이학규(李學逵)·신여권(申與權) 등이 또 체포되어 투옥당했다.

위관(委官)이 흉서(凶書 : 帛書)를 나에게 보여주며 말하기를 "역적의 변고가 이지경에 이르렀으니 조정에서도 무슨 걱정인들 미치지 않으리요. 무릇 서양 서적의 글자 하나라도 읽은 사람은 죽음이 있을 뿐 살아날 수는 없다"라고 하였다.

그런데 사건을 조사해 보니, 모두 참여해서 알았던 정상이 없었고44) 또 여러 대신들이 압수해간 예설(禮說)이나 이아설(爾雅說) 및 여러 시작품을 검토해 본바 모두가 안한(安閒)하고 정밀하여 알맹이가 있고 적(賊 : 황사영)과 서로 통했던 낌새가 없기 때문에 불쌍하게 여겨서 어전에 들어가 무죄임을 올려바치니, 태비도 그것이 무고임을 살펴내고 여섯 사람을 모두 적당히 석방하라고 명령하고는 말하기를 "호남에는 아직도 서교에 대한 우려가 있으니 나를 강진현으로 유배시켜 진정시키도록 하고 약전은 흑산도, 나머지는 모두 영남과 호남으로 옮겨서 유배보내라"고 하였다.

이 무렵 윤영희 (尹永僖)가 내가 사나 죽나를 알아보러 대사간 박장설(朴 長卨)의 집을 방문하여 재판이 되어가는 형편을 물어보았는데, 마침 그 홍희운이 도착함으로써 윤영희가 골방으로 피해 들어가자 홍희운이 말에서 내려 집으로 들어오며 발끈 성을 내면서 말하기를 "천 사람을 죽이고 약용 을 죽이지 않으면 아무도 죽이지 않은 거와 같소. 공(公)은 왜 힘껏 다투지 않습니까? "라고 하니, 박장설이 대답하기를 "그자가 스스로 죽지 않는데 내가 어떻게 죽일 수가 있나"라고 말하였다고 한다. 홍희운이 가버리자 장설이 윤영희에게 말하기를 "답답한 사람 같으니라고, 죽어지질 않는 사람에게 음모해서 죽이려고 재차 큰 옥사를 일으켜 놓고는 또 나보고 다투지 않는다고 책망하는구려"라고 하더란다. 내가 강진에 도착하자 문을 닫고 아무도 만나지 않고 있었는데, 임술년 (1802) 여름에 강진 현감 이안묵(李安默)이 하찮은 일로 또 무고를 하였으나 사실이 없어서 끝나버렸다.

계해년 (1803) 겨울에 태비의 특별명령으로 나와 채홍원(蔡弘遠)을 함께 석방하라고 했지만 정승 서용보가 가로막아버 렸다.

무진년(1808) 봄에는 다산(茶山)으로 이사를 했다. 그곳에다 대(臺)를 쌓고 못(池)을 파서 줄을 맞춰 꽃과 나무를 심고 물을 끌어다 비류폭포를 만들었다. 동암(東菴)과 서암(西菴) 두 초막을 짓고 천여 권의 장서(藏 書)를 두고 저술을 하면서 스스로 재미를 느끼고 살았다. 다산(茶山)은 만덕사(萬德寺)의 서쪽에 있었는데 처사(處士) 윤단의 산정 (山亭 :茶山 草堂)이었다. 바위로 된 절벽에 '정석 (丁石)' 두 글자를 새겨서 표시를 해놓았다.

경오년(1810) 가을에 나의 아들 학연(學淵)이 바라를 두들겨 억울함을 하소연했기 때문에 형조판서 김계락(金啓洛)이 그 사실을 올려바쳐 석방시켜 고향으로 돌아가게 하라는 명령이 났었으나 홍명주(洪命周)가 상소하여 불가하다고 논했으며, 이기경이 급히 대계 (臺啓)를 올려 석방되지 못하고 말았다.

갑술년(1814) 여름에 사헌부 장령 조장한(趙章漢)이 정계(停啓)를 하고 의금부에서 해배 명령서를 보내려 하는 때에 강준흠(姜逡欽)이 상소하여 독살스러운 소리를 해놓으니, 판의금(判義禁) 이집두(李集斗)가 두려워서 감히 해배 공문을 보내지 못하고 있었다.

무인년(1818) 여름 응교(應敎) 이태순(李泰淳)이 상소하여 "정계가 되었는데도 의금부에서 석방 공문을 보내지 않은 것은 국조(國朝) 이래 아직까지 없던 일입니다. 여기서 파생될 폐단이 얼마나 많을지 알 수가 없는 일입니다"라고 하니까, 정승 남공철(南公轍)이 의금부의 여러 신하들을 꾸짖으니, 판의금(判義夙) 김희순(金羲淳)이 마침내 공문을 보내어 내가 고향으로 풀려 돌아왔으니, 가경 (嘉慶) 무인(순조 18, 1818) 9월의 보름날이었다. 처음 신유년(1801) 봄에 옥중에 있을 때 하루는 근심하고 걱정하다 잠이 든 꿈결에 어떤 노인이 꾸짖기를 "소무(蘇武)는 19년도 참고 견디었는데 지금 그대는 19일의 괴로움도 참지 못한다는 말인가"라고 했었다. 옥에서 오던 때에 당하여 헤아려 보니, 옥에 있던 것이 꼭 19일이었다.45) 유배지에서 고향으로 돌아옴에 당하여 헤아려 보니, 경신년(1800) 벼슬길에서 물러 나던 때로부터 또 19년이 되었다. 인생의 화와 복이란 정말로 운명에 정해져 있지 않다고 누가 말하겠는가.

고향집에 돌아오고 보니, 서용보(徐龍輔)가 마침 벼슬길에서 물러나 서쪽 이웃 마을에 살고 있었다. 사람을 보내어 대단히 관곡(款曲)한 위로의 말을 보내왔다.

기묘년(58세, 1819) 봄에 서용보가 다시 정승으로 들어갔는데 오고갈 때 마다 은근하게 위로의 문안을 해주었다. 그해 겨울에 조정의 의론이 경전 (經典)하는 일에 다시 나를 기용해서 쓰기로 결정이 났으나 서용보가 극력 저지하여 끝나버렸다. 이해 봄에 배를 타고 남한강(한강)을 거슬러 올라가 충주(忠州)에 있는 선산에 성묘하였다. 가을에 용문산(龍門山)에 유람갔다.

경진년(59세, 1820) 봄에 배를 타고 산수(汕水)를 거슬러 올라가 춘천과 청평산(淸平山) 등지를 유람했다. 가을에는 다시 용문산에 가서 유람하는 등 산과 시냇가를 산보하면서 인생을 마치기로 했다.

나는 해변가로 귀양을 가자 '어린 시절에 학문에 뜻을 두었지만 20년 동안 속세와 벼슬길에 빠져 옛날 어진 임금들이 나라를 다스렸던 대도(大道)를 알지 못했다. 이제야 겨를을 얻었구나'라는 생각이 들어 그때야 흔연스럽게 스스로 기뻐하였다. 육경 (六經)과 사서 (四書)를 가져다가 골똘히 생각에 잠기고 밑바탕까지 파내었다. 한(漢)나라 위 (魏)나라 이후로부터 명 (明) ·청 (淸)에 이르기까지 유학사상으로 경전(經典)에 도움이 될만한 모든 학설을 광범위하게 수집하고 넓게 고찰하여 잘못되고 그릇되었음을 확정해 놓고는 그런 것 중에서 취사선택하고 나대로의 학설을 마련하여 밝혀놓았다.

선대왕(正祖)의 비평을 받았던 『모시강의 (毛詩講義)』 12권으로부터 시작 하여 별도로 『모시강의보(毛詩講義補) 3권을 저술해 놓고, 『매씨상서평 (梅 氏尙書平)』 9권, 『상서고훈(尙書苦訓)』 6권, 『상서지원록(尙書知遠錄)』 7 권, 『상례사전(喪禮四箋)』 50권, 『상례외편(喪禮外編)』 12권,『사례가식 (四 禮家式)』 9권, 『악서고존(樂書孤存)』 12권, 『주역심전(周易心箋)』 24권, 『역학서언(易學緖言)』 12권, 『춘추고징 (春秋考徵)』 12권,『논어고금주(論語 古今注)』 40권,『맹자요의 (孟子要義)』 9권,『중용자잠(中庸自箴)』3권,『중 용강의보(中庸講義補)』 6권, 『대학공의(大學公議)』 3권, 『희정당대학강록 (熙政?大學講錄)』1권, 『소학보전(小學補箋)』 1권, 『심경밀험 (心經密驗)』 1권을 저술했으니 이상 경집 (經集) 232권이었다.

『시경 (詩經)』에 대한 학설로는 시 (詩)란 간림(諫林)이다. 순(舜)의 시대 에 "오성육률(五聲六律)로써 오언(五言)을 받아들인다"라고 했을 때 오언 (五言)이란 육시(六詩) 중에서 다섯을 말한다. 풍(風) ·부(賦) · 비 (比) ·흥 (興)과 아(雅)가 다섯이며 단지 송(頌)만을 세지 않은 것이다. 46)고몽(朦朦)이 아침 저녁으로 풍자하는 노래를 부르면 가수들이 따라서 합창해 부르며, 거문고나 비파를 타기도 하면서 임금으로 하여금 착한 것은 들어서 감발시키게 하고 악한 것은 듣고서 잘못을 뉘우치게 하기 때문에 시의 포폄 (褒貶)은 『춘추(春秋)』보다 더욱 무서운 역할을 하며, 임금들이 두려워하기 때문에 "시가 없어지고 나서 춘추를 제작했다"라고 했었다. 풍 ·부 · 비·흥 은 풍자한다는 말이고 소아(小雅) ·대아(大雅)란 정언(正言)으로 간(諫)한 다는 말이다.

『서경(書經)』에 대한 학설로는 매색(梅?)이 전한 25편은 가짜이다. 『사기 (史記)』 『양한서 (兩漢書)』 및 『진수서 (晉隨書)』에 있는 유림전이나 경적지 (經籍志)를 고찰해 보면 그게 가짜임이 분명하며 『서경』에서 그 부분을 없애지 않으면 안된다. 선기옥헝 (璇璣玉衡)이란 하늘의 모형을 딴 의기 (儀 器 :運天儀)를 뜻하는 것이 아니며, 우공(禹貢)의 삼저적 (三底績)은 아홉해 동안에 세번 고적 (考績)한다 함이고 홍범구주(洪範九疇)는 47) 정전(井田)의 모형이기 때문에 2와 8이 서로 대응되고 4와 7이 서로 이어지는 것이다.『예경 (禮經)』에 대한 학설로 정현(鄭玄)의 주(註)는 전해 물려받은 착오 가 없지 않은데 선유(先儒)가 성경 (聖經)처럼 떠받든 것은 잘못이다.

상의유광(喪儀有匡)에서는 '질병 (疾病)'이란 목숨이 이에 끊어짐을 말함이 다. 남녀 개복(男女改服)이란 순수한 휜색으로 갈아입는 것이다. 천자나 제 후의 상에는 먼저 성복하고 뒤에 대렴 (大斂)한다. 천자 · 제후 · 대부 ·사 (士)는 삼우(三虞)로 졸곡제 (卒哭祭)를 지내는 것이지 졸곡제란 따로 지내 는 제사가 아니다. 부(  )란 신도(神道)를 부한다 함이지 신주에 곁붙이는 것도 아니고 묘(廟)에다 곁붙인다는 것도 아니다.

길제 (吉祭)란 사계절에 정해진 제사이지 소목(召穆)을 가리는 일이 아니다. 상구유정 (喪具有訂)에서는 모(冒)란 이불 같은 것이요 자루(蔞)로 하는 것이 아니다. 악수(握手)란 양우(兩沸)가 아니며 가운데를 모양만 두 개로 한다. 이미 머리를 가렸으니 복건(福巾)은 폐하는 것이 마땅하며, 수직으로 옷깃끝을 하는 것은 옳지 않고 마땅히 횡(橫)으로 옷깃끝을 해야 한다.

심의 (深衣)의 폭은 12폭이고 앞에 3폭 뒤에 4폭임은 다른 치마에도 같으며 다음의 3폭은 앞자락에다 다시 겹치고 2폭은 겨드랑이에다 접어넣는다. 구변(鉤邊)이란 옆에다 접어넣는다 함이다. 마침내 장인(匠人)이 납거 (納車) 한다 할 때 널을 싣는 신거(蜃車)라는 것은 신탄(蜃炭)의 거(車)를 말 하는 것이지 4바퀴로 땅에 굴리는 것을 만드는 게 아니다.

상복유상(喪服有商)에서는 수질(首珩)의 맺는 곳은 당연히 목(項)의 됫부 분이고 만약에 맺음이 좌우에 있으면 좌측으로 본(本)을 한 것은 좌측의 끝 을 겸하게 하고 우측을 본으로 한 것은 우측 끝에 겸하게 해야 한다. 요질 (要珩)에 칡을 넣는 것은 삼규(三糾)로 꼬아야지 삼중(三重)으로 하면 예가 아니다. 상관(喪冠)에 무(武 : 갓끈)가 있다 했을 때 베(베)로 사용해야지 노끈으로 갓끈을 만듦은 예가 아니다.

48)오복(五服)의 최(최)는 모두 제복 (祭服)의 모형인데 최란 가슴에 붙이는 것이며, 적(適)이란 구부린 옷깃〔옷깃〕이고 부(負)란 뒤에 다는 끈이다. 벽령(壁領)을 조각하는 것은 법식이 아니다. 경복(輕服)에서 최와 적과 부를 제거하는 것은 예 (禮)가 아니다. 대하척 (帶下尺)은 횡란(橫爛)으로 만들어서는 안되고 임당방(姙當芳)은 연미(燕尾)로 만들어서는 안된다.

소렴(小斂)에 질(珩)을 두르는 것은 조복 (弔服)의 칡으로 만든 질이다. 천자(天子)가 국군(國君) 이하를 조문할 때에는 질을 두르고 하기 때문에 군(君) · 대부(大夫) ·사(士)가 모두 한가지 라고 한다. 소렴 때 곧바로 규질 (?珩)을 착용한다 함은 질이 두 가지라 함 은 아니다. 상기유별(喪期有別)에서는 기년(朞年 : 1년)의 복(服)을 입는 상(喪)에서 는 11월이 지나 49)연(練)을 하는데 조부모 · 백숙부모(伯叔父母) ·형제간 · 형제의 아들에게도 마땅히 연을 해야 한다. 연을 못하는 경우에는 아버지가 계시고 어머니를 위한 복으로, 연을 하면 그 복이 도리어 가벼워지기 때문이다.

남에게 양자(養子) 가서 아들이 된 사랍은 자기의 조부모 · 백숙부모 는 대공(大功)으로 내려 입지 않고 내려 입는 경우는 형제 이하부터라 함은 마융(馬融)의 가르침이다. 남의 양자가 된 사람으로는 아우가 형을 위해서, 손자가 할아버지를 위해서 뒤(後)가 되기 때문에 칭호를 바꾸지 않으나 부 모의 뒤를 잇는 경우는 부모로 바꿔는 것이다. 조부모의 50)승중(承重)은 아 버지가 돌아가셨을 때 소렴 때 위치가 선두에 있던 사람(長子)은 승중할 수 있으나 소렴 때 뒤에 섰던 경우(괴자)는 승중할 수 없다.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할아버지는 계시는데 할머니가 돌아가셨을 때에는 승중하지 못한다. 첩(妾)의 아들의 아들은 그 첩인 할머니를 승중을 하지 못한다. 천자나 제 후의 상에는 모후(母后)도 또한 참최(斬최)를 하여 촌수(寸數)가 먼 사람도 모두 참최를 하는데 가까운 처지에서는 당연히 먼저 51)참최를 해야 한다.

제례유정(祭禮有定)에서는 제후의 나라 대부(大夫)의 제사에는 삼세 (三 世)를 넘어서는 안된다. 태조(太祖)의 신주(神主)는 옮기지 않으며 또 다른 묘(廟)로 옮기지도 않는다. 지자(支子)가 52)최장방(最長房)으로 넘겨온 신주에게 제사지내지 않음은 예가 아니다. 대부(大夫)는 1년에 두번 제사지낼 뿐이지 4계절에 다 지내지 않는다.

합호(闔戶)란 53)상염(敵厭)의 예다. 유 (侑)하고 삼헌(三獻)하는 것은 합호에서는 옳지 않다. 54)태뢰(太牢) ·소뢰 (少 牢) ·특생(特牲) ·특돈(特豚)은 그 제기 그릇과 크고 작은 제기, 국그룻 의 가짓수가 각각 정해져 있다 함이다. 그 의미는 55)삼례 (三禮)와 『춘추(春 秋)』에 산견되어 있으니 임금 · 대부(大夫) ·사(士)는 각각 등급이 있으며 마음대로 증감해서는 안된다. 또 술잔 ·국그릇은 홀수로 사용하며 큰 제기 나 일반 제기는 짝수로 사용하는 것이니 혼잡하게 해서도 안된다.

『악(樂)』에 대한 연구에서는 오성(五聲)과 56)육률(六律)은 절대로 한가지 임이 아니다. 육률이란 악기를 제작하는 것으로 음악가의 선천(先天)이다. 오성이란 곡조를 분별하는 음악가의 후천(後天)이다. 추연(鄒衍) ·여불위 (呂不韋) ·유안(劉安) 등의 학설인 취율정성 (吹律定聲)의 사악한 학설을 변 척 (辯斥)하고 삼분손익 (三分損益) ·취처생자(娶妻生子)의 학설이나 괘기월 기 (卦氣月氣) ·정반변반(正半變半)의 학설은 하나도 인용하지 않았다.

 

육률 을 각각 셋으로 나누어 하나씩을 빼내 57)육려 (六呂)가 되는 것이니, 이는 영주구(怜州鳩)의 대균세균(大均細均) ·삼기육평 (三紀六平)의 옛법을 따랐다.

역경(易經)』에 관한 학설로는 역에는 삼오(三奧)가 있다. 하나는 추이 (推移)요, 둘은 효변(爻變)이요, 셋은 호체(互體)다. 12벽괘(十二抗卦)는 4 시(四時)를 형상하였고 중부(中孚)와 소과(小過)는 양윤(兩閏)을 형상하며 여기에서 추이(推移)하여 50연괘(五十衍卦)를 만들어내는데 그걸 추이라고 한다.

건초구(乾初九)는 건(乾)의 후()다. 손(巽)은 입복(入伏)이기 때문 에 잠룡(潛龍)이라 한다. 건구사(乾九四)란 건(乾)의 소축(小畜)이다. 손 (蓀)이고(股)가 된다 함은 아래로부터 위로 올라가기 때문에 혹약(或躍)이 라 한다. 곤초육(坤初六)은 곤(坤)의 복(復)이다. 일음(一陰)이 비로소 합해져 장차 순건(純乾)이 되고 건(乾)이 빙 (氷)이 되기 때문에 이상견빙지 (履霜堅氷至)가 되니 이를 효변(爻變)이라 한다. 태 (泰)의 양호(兩互)는 곧 귀매 (歸妹)가 되고 사효(四爻)의 움직임이 또 임괘 (臨卦)를 이루기 때문에 새가 펄펄 날아도 부유하다 생각지 않음은 모두 실재를 잃은 것이다. 비 (否)의 양호(兩互)는 곧 점괘(漸卦)가 되고 오효(五爻)의 움직임이 또 중간 (重艮)을 이루기 때문에 기망기망(其亡其亡)이 상(桑)에 걸렸다 한다.

온갖 물건이 찬덕(撰德)함은 모두 호상(互象)에서 취하는데 이것을 호체(互體)라 한다. 삼오(三奧)가 갖추어 있어 물상(物象)이 묘합(妙合)하고 삼오가 갖추 어 있어 오르고 내리며 가고 오며 줄어지고 커나가며 생겨나고 없어져버리게 되고 만가지로 움직여지는데 성인(聖人)이 그러한 모습을 글에다 나타내 놓은게 역 (易)이다. 팔(八)로써 팔(八)을 탄다 함은 변화를 모른 채 막혀 있는 이론이다. 시괘(蓍卦)의 수(數)를 삼천양지(參天兩地)라 하고 일천이지(一天二地)라 하면 소양칠(少陽七)이다.

일지이천(一地二天)은 소음팔(少陰八)이다. 삼천 (三天)은 노양구(老陽九)가 되고 삼지(三地)는 노음육(老陰六)이다. 노(老) 는 변하지 않을 수 없기 때문에 구륙(九六)을 효(爻)라 하며 육획은 효(爻)가 아니며 육획의 움직임이 효가 되는 것이다. 반대 (反對)라고 함은 역(易)의 차례다. 그 반대(反對)라는 것이 없으면 또 도체(倒體)를 취하기 때문에 대과전(大過顚)이라 한다. 전이(顚이)란 길(吉)이다. 감(坎)의 육삼 (六三)이 손입(巽入)이 되고 이(離)의 초구(初九)가 진도(震倒)가 된다. 역 (易)에는 역수(逆數)가 있고 본래 순수(順數)는 없다. 선천(先天)의 괘(卦) 위치는 이치로 보아 주자(朱子)가 왕자합(王子合)에게 답한 글 중에서 나타 낸 것과는 합치되지 않는다.

『춘추(春秋)7에 관한 학설로는 제후(諸侯)들이 '왕정 (王正)'을 받드는 것은 예(禮)이다. 비록 주(周)나라가 쇠약해졌다 해도 마땅히 '왕정(王正)′ 을 내걸었다. 또 그 당시에 열국(列國)에서 하정(夏正)을 참작해서 썼으므로 여름은 온(溫)의 보리에서 취한 거고 가을은 주(周)나라의 벼에서 취한 것이다. 반드시 왕정월(王正月)이라고 써서 그 자월(子月)이 됨을 밝혀둔 것이다. 한 글자의 포(褒)를 더러 선(先)과 같다고 하나 용례 (用例)는 다르고, 한 글자의 폄(貶)을 악(惡)과 다르다고 하나 용례는 모두 같은 걸로 되어 있다. 하오(夏五)와 같은 것은 역사책에 빠진 것으로 여겨 선유(先儒)처럼 잘못 해석할 필요는 없다.

좌씨책서(左氏策書)가 춘추(春秋)의 전(栓 아니라 함은 그러한 경전을 해석해 놓은 한유(漢儒)들이 없애고 더해 놓음 과 같지 않다고 하여 공씨(公氏)나 58) 곡씨(穀氏)것까지 없애버려서는 안된다. 상제(上帝)를 59)교제(郊祭)하는 것은 그 제사를 다섯 장소에서 지낸다.

상제(上帝)란 한나라 유자들이 진(秦)나라 사람들의 잘못을 답습한 것이다. 체(疳)란 60)오제(五帝)에 대한 제사인데 주례(周禮)에는 체(疳)라는 말이 없다. 오제에게 제사지낸다 함이 체(疳)다. 그렇기 때문에 사보(射보)를 보면 자주 체교(疳郊)의 일을 쭉 이어서 말해 놓은 것이다.

동지(冬至)에 원구의 제사를 지낸다 함은 별도의 회례이며 교천(郊天)의 제사 는 아니다. 춘추시대에 상기(喪期)가 불변(不變)한다 함은 두예(杜豫)가 61)양암(諒闇)의 뜻을 세우면서 춘추시대의 단상(短喪)의 잘못됨을 꾸며놓았는 데 따를 수 없는 이론이다.

『논어(論語)』에 대한 학설은 새로운 주장이 더욱 많다. 효제(孝弟)란 바로 인(仁)이다. 인(仁)이란 총괄해서 하는 말이고 효제(孝弟)란 분할해서 하는 말이다. 인이란 효제로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효제란 인(仁)을 하는 근본이다"라고 했다. "북신(北辰) 제 자리를 잡았다"라고 함은 남극(南極)으로 마주 서게 한 것으로, 임금이 마음을 바르게 갖는 형상을 말함이다. 임금의 마음이 바르게 되면 백관(百官)이나 만민(萬民)이 더불어 함께 운화(運化)가 되는 것이니, 그래서 "모든 별들이 함께 돈다"라고 했다. '共'자를 향(向)이라 함은 무의미한 말이다. 붉고 또 뿔이 난 것"이란 소(牛)의 천품(賤品)인다. 소란 검푸른 색깔이어야 값이 나가고 갓낳은 송아지라야 귀하게 여기고 뿔인 네치〔四寸〕정도 되는 거라야 귀중하게 여긴다. 붉은 빛깔에 뿔까지 나 있다면 산천(山川)의 제(祭)로 쓸 수밖에 딴 도리가 없다. 중궁(仲弓)의 어짊은 백우(伯牛)보다 못했기 때문에 폄하(貶下)하면서도 그 존재의의를 인정한 것이다.

62)곡삭(곡朔)에는 세 가지가 있는데 하나는 곡삭(곡朔)이요 둘은 제삭(祭朔)이며 셋은 시삭(視朔)이다. "네번 '시삭'을 하지 못했다"고 했지만 제(祭)는 일찍이 궐한 적이 없었다. "네번 시삭을 하지 못했다"는 것으로 모함을 해서 백년 동안 시삭을 하지 않았다고 한다면 이치에 맞지 않는다. 묘 (廟)에서 제사지내는 생(牲)은 희(?)라고 부르지 않으니 희란 곧 빈희(賓?)다. 주나라 왕실이 쇠미해져서 제후의 나라에다 곡삭(곡朔)을 반포하는 왕의 사신이 오지 않기 때문에 자공(子貢)이 그 접대용으로 마련한 양을 버리려 했었다.

동주(東周)란 동로(東魯)의 은어(隱語)였다. 공산불요(公山弗擾)가 계씨 (季氏)를 배반하고 공실(公室)을 부축하려고 했기 때문에 공자가 공실을 옮 겨 비읍(費邑)을 근거지로 하여 동로(東魯)로 하려 했으니 동주와 같은 것 이다.

승당(升堂)이란 당상(堂上)의 음악이니 아(雅)와 송(송)이 바로 그것이 다. 입실(入室)이란 방중(房中)의 음악이니63)이남(二南)이 그것이다. 자로의 비파는 아와 송은 되어도 이남은 되지 못하기 때문에 공자가 깨우쳐 준 것이다. 공자가 남자(南子)를 만나서 태자 괴외(??)를 불러다 등용토록 권했던 것은 어머니와 아들의 은정을 오롯이 하고자 함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내가 하지 못하게 했다면 하늘이 싫어했을 것이다·라고 했었다.

대부(大夫)가 소군(小君)을 만나보는 것은 당시에 으례 있었던 예(禮) 였다. 상지 (上智)와 하우(下愚)는 성품(性品)을 구별해서 하는 이름이 아니다. 착함을 지키려는 사람은 악한 사람과 아무리 어울려도 습성(習性)이 옮겨지 지 않기 때문에 상지(上智)라고 하는 것이며, 악한 일에 안주해버리는 사람은 아무리 착한 사람과 어울려도 습성이 옮겨지지 않기 때문에 하우(下愚) 라고 하는 것이다.

만약에 사람의 성품에 본래부터 바꿀 수 없는 품성이 있다고 한다면, 주공(周公)이 말한 "성인(聖人)이라도 염(念)하지 아니하면 광(狂)이 되고 광(狂)이라도 능히 염(念)하면 성인이 된다"라고 한 것은 성 품에 대하여 알지 못하고한 말이 되어버릴 것이다.64)

영무자(娩武子)가 처음에 위 성공(衛成公)을 좇아서 온몸이 젖고 진흙탕 에 발이 빠지는 험난과 어려움을 도맡아 했는데 이는 자기 몸을 잊고 순국 (殉國)하려던 우충(愚忠)이었다. 성공(成公)이 본국으로 돌아옴에 당해서는 공달(孔達)이 독권을 부리자 그 권세를 피하여 가버렸는데 그건 몸을 편안히 해서 집안을 보호하려던 지혜였다. 몸을 편안히 하는 지혜야 따를 수도 있지만, 순국의 우직함은 따르기 힘든다고 한 말이었다. 그런데 오늘날 도회(韜晦)함이 우직한 거라고 해버린다면 임금과 함께 어려운 시대를 구제할 수 있는 사람이 없게 되어버리고 만다.65)

『맹자(孟子)』에 대한 학설로는 천자의 신하가 천승(千乘)을 차지한다고 하면 삼공육경(三公六卿)이 각각 천승을 차지하여 나머지는 천승뿐이다. 천자와 구신(九臣)이 각각 천승을 가지면 십경(十卿)이 녹(祿)을 받지 못한다. 소재(小宰)나 소사도(小司徒) 이하의 관리들은 한치의 녹도 혜택받지 못하게 되어버릴 것이다.

만승(萬乘)이란 진(晉)이나 제(齊)와 같은 나라이며, 한(韓) ·위(魏) ·조(趙)와 전(田)씨 등은 천승의 집으로 임금을 죽이고 차지한 것이다. 맹자는 확실히 연(燕) ·제(齊)를 가리켜 만승이라고 했던 것이다. "사람을 죽이기를 즐기지 않는다"란 곧 사람을 죽이지 않는 정치를 한다는 말로 흉년에 구휼(救恤)하는 것 등을 말하는 것이지, 한고조(漢高祖)나 송태조(宋太祖)가 사람 죽이기를 즐겨하지 않았던 경우를 말하는 것은 아니다.

하후씨(夏后氏)는 오십묘(五十묘)이고 은인(殷人)은 칠십묘(七十묘)라 함은 참(塹)을 막고 험악한 등성이를 평평하게 해서 정전(井田)으로 바꿔 만든 것은 아니다. 기(氣)란 의(義)와 도(道)에 짝하는 것으로 의와 도가 없다면 기는 시들해져버린다. 이는 여자약(呂子約)이나 이이(李珥)가 가르쳐 준 뜻이다.

성(性)이란 기호(嗜好)다. 형구(形軀)의 기호도 있고 영지(靈知)의 기호도 있는데 똑같이 성(性)이다. 때문에 소고(召誥)에 '절성(節性)'이란 말이 있고 왕제(王制)에는 '절민성(節民性)'이라 했으며, 맹자도 '동심인성(動心忍性)'이란 말을 썼고, 또 이목구체(耳目口體)의 기호가 성(性)이라 했으니 이들은 형구(形軀)의 기호다. 천명(天命)의 성(性), 성과 천도(天道), 성선 (性善) ·진성(盡性)의 성은 영지(靈知)의 기호다. 본연의 성(本然之性)은 원래 불서(佛書)에서 나온 것으로 우리 유교의 천명이나 성과는 서로 66)빙탄(氷炭)이 되어 함께 말할 수 없는 것이다. "만물이 모두 나의 마음속에 구비되어 있다" 함은 힘써서 서(恕)를 행하 고 인(仁)을 구하라는 계율이다.

사람의 자식이 되고 사람의 아버지, 사람 의 헝제, 부부나 빈주(賓主)의 도리라든가, 경례(經禮)의 300가지, 곡례(曲禮)의 3천 가지 모든 원리가 다 나의 마음속에 구비되어 있으니 자기 몸을 반성하여 참다워진다면 극기복례(克己復禮)가 되고 천하가 귀인(歸仁)한다 함이지 만물일체(萬物一體)니, 만법귀일(萬法歸一)의 의미가 아니다.

맹자의 성에 대하여 논할 때 아울러 이목구체에 대하여 언급해서 이(理)만 논하 고 기(氣)를 논하지 않는 폐단이 없었다. 왕망(王莽)이나 조조(曹操)는 기질(氣質)이 대체로 청(淸)했고, 주발(周勃) ·석분(石奮)은 기질이 대체로 탁(濁)했다는 것인가. 선과 악이란 힘써 행하느냐 행하지 않느냐에 달려 있지 기질에 달려 있는 게 아니다.

『중용(中庸)』에 대한 학설로는 순(舜)이 전악(典樂)에게 명령하여 주자(?子)를 가르치는데, 직(直)하되 온(溫)하며 관(寬)하되 율(栗)하며 강(剛)하되 학(虐)이 없으며 간(簡)하되 오(傲)가 없게 하도록 했는데, 주례 에 대사악(大司樂)이 국자(國子)를 가르칠 때 중화(中和)와 지용(祗庸)으로 한 것은 바로 그 유법(遺法)이었다.

고요(皐요)는 구덕(九德)으로써 사람을 등용하였고 주공(周公)이 입정(立政)에서 "구덕의 행실에 침순(?恂)하게 가르친다"라고 한 것도 그 유법이다. 홍범(洪範)에 "고(高)하고 명(明)함이 란 유(柔)로 극(克)함이며 침(沈)하고 잠(潛)함이란 강(剛)으로 극(克)함이 다"라 했음은 모두 중화(中和)의 뜻이다. "진실로 그 중(中)을 붙잡다"라 함은 이러한 모든 말들의 대강설(大綱說)이다.

용(庸)이란 상구부단(常久不斷 )의 덕(德)이다. "도(道)란 잠시도 떨어져 나가지 않는다"라 함도 용(庸) 이다. "일반 백성이 할 사람 적은지 오래다"라 함도 용(庸)이다. "여러 달 지키지 못한다" 함도 용(庸)이다. "중간에 그만두어버리는 자는 나도 어찌 하지 못한다" 함도 용(庸)이다. "용덕(庸德)의 행(行)과 용언(庸言)의 근 (謹)"이라 함도 용(庸)이다. '지성무식(至誠無息)' '불식즉구(不息則久('도 용(庸)이다. "문왕(文王)의 순역불이(純亦不已)"도 용(庸)이다. "회(回)는 석달 동안 인(仁)에 위반되지 않으며 그 밖의 사람은 날과 달로 이른다" 함도 용(庸)이다. "능히 하루가 다하도록 임금의 교도(敎導)를 힘쓰지 아니 함"도 용이다.

고요(皐요)가 구덕(九德)을 들면서 '창궐유상(彰闕有常)'이라 고 결론을 맺었고 입정(立政)의 구덕의 계(戒)에서도 부연하기를 "오직 상 덕(常德)이라"고 했었다. 역(易)에서는 "능히 중(中)에 오래함이다" 했다. 이 모두 중용의 뜻이니 중(中)을 지키고 능히 용(庸)하면 곧 성인일 뿐이 다.

부도(不睹)란 내가 보지 못하는 것이며 불문(不聞)이란 내가 듣지 못한다 함이다. 하늘의 일에서 은(隱)이란 하늘의 체(體)이며 미(微)란 하늘의 적 (跡)이다. "은(隱)해서 아무리 숨겨도 안 보 리 없고 미(微)해서 아무리 미세해도 나타나지 않음이 없다. " 때문에 공구계신(恐懼戒愼)하게 되면 하늘이 알지 못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거리껴 함이 없게 된다고 했다. 희로 애락(喜怒哀樂)의 미발(未發)이란 평상시에 으레 있는 마음 상태이고 심지 사려(心之思慮)의 67) 미발(未發)이 아니다.

68)고호함정이란 유사(有司)의 형화(刑禍)가 아니다. 색은(索隱)이란 이유없이 벼슬하지 않고 백이(伯夷)나 태백(泰伯)처럼 인륜(人倫)의 변란을 맞아 그러하던 것이 아니다. '개이지(改而止)'란 가(柯) 를 견주어 보아 길면 고치고 짧아도 고치고 커도 고치고 작아도 고쳐서 본래의 가(柯)와 같게 한 뒤에야 멈춘다 함이다. 사람의 강서(强恕)도 이와 같으니 사람으로 하여금 개과(改過)하도록 하는 것이 아니다.

도심(道心)과 인심(人心)은 도경(道經) 나온 이야기이고 유일(唯一)과 유정(唯精)은 순자(荀子)에게서 나온 말이기 때문에 의미를 서로 연결하려고 해서는 안된다. 도(道)와 인(人)의 사이란 그 가운데를 붙잡을 수 없으며 하나인 이후에 정(精)이니 둘을 붙잡아 가지고운용하는 것이 아니다. 69)

『대학(大學)』에 대한 학설로는 대학이란 주자(胄子)와 국자(國子)의 학궁 (學宮)이다. 주자나 국자는 벼슬하여 백성을 다스리는 책임이 있기 때문에 치평(治平)의 술(術)을 가르쳤다. 필부(匹夫)나 서민(庶民), 일반 백성의 자식들이 함께 어울리는게 아니었다. 명덕(明德)은 효제자(孝弟慈)이지 사람의 영명(靈明)이 아니다.

격물(格物)이란 물(物)에는 본말(本末)이 있다 할 때의 물을 격(格)하는 것이다. 치지(致知)란 먼저 하고 뒤에 할 바를 지(知)한다 할 때의 지(知)를 치(致)함이다.70) 성(誠)이란 물(物)의 종시(終始)이기 때문에 성의(誠意)가 나아가 제일 위에 놓여진 것이다.

정심(正心) 이란 수신(修身)하는 것인데 몸에 분치(忿?)가 있으면 고쳐지지 않음을 말한다. 노노(老老)란 태학(太學)에서 양로(養老)함이다. 장장(長長)이란 태학에서 세자(世子)의 나이 순서대로 앉힘이다. 흘고(恤孤)란 태학에서 고아들을 위해서 향연을 베풂이다. 일반 백성의 욕심은 부(富)와 귀(貴)다. 군자(君子)가 조정에 있을 때에는 귀를 바라서이고 소인(小人)이 야(野)에 있을 때에는 부를 바라기 때문에 사람 등용하는 일이 공정치 못하고 어진이를 어진이로 모시지 않고 친한 사람을 친하게 여기지 않으면 군자는 떠나가고 재산을 모으는 일에 절제가 없게 되며 즐거움을 즐거움으로 해주지 않고 이익을 이익으로 해주지 않으면 소인은 반기를 들어 나라는 망해버리기 때문에『대학』의 마지막 편에서는 이 두 가지를 신신당부하였다.

선왕(先王)의 도(道)에 대한 연구를 종합해 보면 마음의 허령(虛靈)은 하늘에서 받은 거지만 본연(本然)이니, 무시(無始)니, 순선(純善)이라고 해서는 안된다. 마음이 생각(思)을 주관(主官)함은 "반하여 미발(未發) 이전의 기상을 살핀다"라고 해서는 마음을 닦는 일이 되지 못한다.

선할 수도 있고 악할 수도 있는 것은 재(才)이며, 선하기는 어렵고 악하기는 쉬운 것은 세(勢)이다. 선을 즐겨하고 악을 부끄러워하는 것은 성(性)이니, 이 성을 따르며 위반됨이 없게 한다면 도(道)에 이를 수 있다. 때문에 성은 선하다는 것이다.

어질 인(仁)자는 두 사람을 뜻한다. 효(孝)로 아버지를 섬기면 인(仁)이다. 형을 공순하게 섬기면 인이다. 충(忠)으로 임금을 섬기면 인이 다. 벗과 믿음으로 사귀면 인이다. 자애롭게 백성을 다스리면 인이다. 인을 가지고 동방의 물을 낳는 이치(理)니, 천지(天地)의 지공(至公)한 마음이니 해서는 인의 설명이 되지 않는다. 강서(强恕)로 행함이 인을 구하는 데에 가장 가까운 길이어서 증자(曾子)가 도(道)를 배울때 71)일관(一貫)을 공자 가 가르쳐 주었다. 자공(子貢)이 도(道)를 물을 때에도 일언(一言:恕)으로 써 가르쳐 주었다.

경례(經禮)의 300, 곡례(曲禮)의 3천을 꿰뚫는 것은 서(恕)다. 그래서 "인을 함이 자기로 말미암는다" "자기를 이기고 예로 돌아 간다"는 말이야말로 유교(儒敎)의 바른 취지다. 성(誠)이란 서(恕)에 참되 어야 함이요, 경(敬)이란 예로 돌아감이다. 인(仁)이 되게끔 해주는 거야말로 성(誠)과 경(敬)이다. 그래서 두려워하고 경계하며 삼가하며 자기 가슴을 비추고 있는 듯 상제(上帝)를 섬기는 것은 인이 될 수 있는 것이지만 헛되이 태극(太極)만을 높이고 이(理)를 천(天)이라 하면 인이 될 수가 없고 하늘을 섬기는 데 돌아가고 말 뿐이다.

처음에 내가 역(易)을 탐색하고 예(禮)를 연구하여, 다른 여러 경서에 손을 대면서 하나의 깨달음이 신명(神明)이 통하고 저절로 알아지는 듯하여 누구에게 이야기할 수 없는 것이 많이 있었다.

나의 형 약전(若銓)이 흑산도 바다 가운데 계시며 한편의 책이 완성될 때마다 보시고는 "네가 이런 정도에까지 도달한 것은 너 스스로도 알지 못할 것이다. 오호라 ! 도(道)가 잃어버린지 천년에 백가지로 가리어서 덮여져 있었는데 헤쳐내고 분해해내서 그 가리어 있음을 확 열어젖혔으니 어찌 너의 힘만으로 해낸 것이겠느냐"라고 해주셨다.

『시경』에 "하늘이 백성을 깨우치는 것은 훈(塤)을 부는 듯, 지(?)를 부는 듯하도다72)"라고 했거니와 성(性)이 기호(嗜好)임을 알 아냈고 인(仁)이란 효제(孝悌)임도 알아냈으며 서(恕)란 인술(仁術)임도 알고 하늘의 강감(降監)이 있음을 알아, 경계하고 공경하며 부지런히 힘쓰고 힘써 장차 늙음이 이를 것을 잊은 것은 하늘이 나에게 내려주신 복이 아니라고 하겠는가,

또 시(詩) 작품집으로 18권이 있는데 깎아내서 6권이 되게 했고, 잡문(雜文) 전편 36권, 후편 24권이 있다.

또 잡찬(雜簒)의 책은 종류가 각각 다른데 『경세유표(經世遺表)』 48권은 미완성이고, 『목민심서(牧民心書)』 48권, 『흠흠신서(欽欽新書)』 30권, 『아방비어고(我邦備禦考)』30권은 미완성이며, 『아방강역고(我邦疆域考)』 10권, 『전례고(典禮考)』 2권, 『대동수경(大東水 經)』 2권, 『소학주천(小學珠천)』 3권, 『아언각비(雅言覺非)』3권, 『마가회통(麻科會通)』 12권, 『의령(醫零)』 1권을 합해서 문집(文集)으로 하면 도합 260여 권이 된다.

『경세유표는 어떤 내용인가. 관제(官制)· 군현제(郡縣制)·전제(田制) · 부역(賦役)·공시(貢市)·창저(創儲)·군제(軍制)·과제(科制)· 해세()· 상세(商稅)· 마정(馬政)·선법(船法) 등 나라를 경영하는 제반 제도에 대해서 현재의 실행 가능 여부에 구애되지 않고 경(經)을 세우고 기(氣)를 나열하여 우리의 구방(舊邦)을 새롭게 개혁해 보려는 생각에서 저술한 것이다.

『목민심서』는 어떤 내용인가. 현재의 법을 토대로 해서 우리 백성을 다스려 보자는 것이다. 율기(律己)·봉공(奉公)·애민(愛民)의 세 가지를 기(氣)로 삼았고, 이(吏)·호(戶)·예(禮)·병(兵)·형(刑)·공(工)을 여섯 가지 전(典)으로 만들어 진황(賑荒) 한 단원으로 끝맺었으며 하나의 조목마다 6조(條)를 포함케 하였다. 고금의 이론을 찾아냈고 간위(奸僞)를 열어젖혀 목민관(牧民官)에게 주어 백성 한 사람이라도 그 혜택을 입을 수 있게 했으면 하는 것이 나의 마음씀이었다.

『흠흠신서는 어떤 내용인가. 사람의 목숨을 다루는 옥사(獄事)에서 다스리는 사람이 더러 알지 못하는게 있기에 경사(經史)로써 근본을 삼고 비의(비議)로써 보강하고 공안(公案)으로써 증거가 되게 하였으며, 모든 것을 상정(商訂)하여 옥사를 관리하는 사람들에게 주어 백성들의 억울함이 없기를 바라는게 나의 뜻이었다. 육경사서(六經四書)로써 자기 몸을 닦게 하고 일표이서(一表二書)로써 천하 국가를 다스릴 수 있게 하고자 함이었으니, 본(本)과 말(末)이 구비되었다고 하겠다.

그러나 알아주는 사람은 적고, 꾸짖는 사람만 많다면 천명(天 命)이 허락해 주지를 않는 것으로 여겨 한 무더기 불 속에 처넣어 태워버려도 괜찮다.73) 어머니는 윤씨(尹氏)로 그분의 아버지는 덕렬(德烈), 조부는 두서(斗緖), 증조는 이석(爾錫)으로 종친부 전부(宗親府典簿)였다. 아내는 풍산 홍씨(? 山洪氏), 아버지는 화보(和輔)로 승정원 동부승지, 함경북도 절도사였으며 조부는 중후(重厚)로 동지돈령부사(同知敦寧府事)였고 증조는 만기(萬紀)로 승정원 우부승지였다. 홍씨가 6남 3녀를 낳았으나 어려서 죽은 애들이 3분 의 2였다. 큰아들은 학연(學淵), 둘째는 학유(學遊)며, 딸 하나는 윤창모 (尹昌謨)에게 시집갔다. 학연의 아들은 대림(大林)이다.

나는 건륭(乾隆) 임오년(1762)에 태어나 지금 도광(道光)의 임오(1822)를 만났으니 갑자(甲子)가 한 바퀴 돈 60년의 돌이다. 뭐로 보더라도 죄를 회개할 햇수다. 수습하여 결론을 맺고 한평생을 다시 돌려 내가 금년부터 정밀하게 몸을 닦아 실천한다면 명명(明命)을 살펴서 나머지 인생을 끝마칠 것이다.

그리고는 집 뒤란의 자(子)의 방향 쪽에다 널 들어갈 구덩이의 모 형을 그어놓고 나의 평생의 언행(言行)을 대략 기록하여 무덤 속에 넣을 묘지(墓誌)로 삼겠다.

명(銘) 에 이르기를

네가 너의 착함을 기록했음이

여러 장이 되는구려.

너의 감추어진 사실을 기록했기에

더 이상의 죄악은 없겠도다.

 

네가 말하기를

"나는 사서(四書) 육경(六經)을 안다"라고 했으나

그 행할 것을 생각해 보면

어찌 부끄럽지 않으랴.

 

너야 널리널리 명예를 날리고 싶겠지만

찬양이야 할 게 없다.

몸소 행하여 증명시켜 주어야만

널리 퍼지고 이름이 나게 된다.

 

너의 분운(紛?)함을 거두어들이고

너의 창광(猖狂)을 거두어들여서

힘써 밝게 하늘을 섬긴다면

마침내 경사(慶事)가 있으리라.

 

補 遺

경술년(1790) 겨울에 임금의 명령에 따라 상의원(尙衣院)에서 『논어』를 읽고 있었는데 갑자기 내각(內閣)의 아전이 와서는 소매 속에서 종이쪽지를 꺼내 보여 말하기를 "이건 내일 강독(講讀)할 『논어』의 장(章)입니다"라고 했다. 내가 깜짝 놀라며 "이런 걸 어떻게 강독할 사람이 얻어다 엿볼 수 있단 말인가"라고 했더니 하인배가 "염려할 것 없습니다. 임금께서 지시하신 겁니다"라고 했다. 그래서 내가 "그렇지만 미리 엿보는 일은 할 수 없다. 마땅히 『논어』 전편을 읽어보리라" 하니 그 아전은 웃으면서 돌아갔다.

그 다음날 경연(經筵)에 나가니 임금이 각신(閣臣)에게 말씀하기를 "정약용은 별도로 다른 곳을 하도록 하라"고 했다. 강(講)을 틀리지 않고 끝내자 임금 이 웃으시며 "과연 전편을 읽었구나"라고 하셨다.

며칠 후에 밤은 깊었는데 눈과 바람으로 몹시 추웠다. 내전(內殿)으로부터 글 읽는 여러 신하들에게 음식을 보내왔다. 나는 상의원으로부터 내각으로 달려왔는데 어둠이 칠흑 같아서 담장에 스쳐서 광대뼈 있는 부분이 긁혔다. 다음날 춘당대(春塘臺)에 들어가 임금을 모셨는데 임금께서 광대뼈에 있는 납지를 보시고는 "납지가 어찌해 있는 것인가,간밤에 술을 너무 많이 먹고 취해서 넘어진게 아닌가"라 하시기에 답하기를 "감히 과음하진 않았습니다. 어둠이 칠흑 같아서 그랬습니다"라고 했더니,임금이 "옛날에도 취학사(醉學士)와 전학사(顚學士)가 있다는데 취하지 않았다면 넘어진 학사로군" 이라고 하셨다.

계축년(1793) 무렵 74)대정(大政) 며칠 전에 임금이 채제공에게 밀유(密 諭)로 묻기를"남인중에서 75)대통(臺通)에 급한 사람이 누구냐"고 하고 아울러 이가환·이익운·정약용 등에게 각각 자기의 소견을 피력하게 하도록 했다 한다.

채제공과 두 이씨(가환·익운)가 함께 말하기를 "권심언(權心 彦)이 가장 급합니다"라고 했다. 무릇 백년 이래로 남인들이 오랫동안 벼슬 길이 막혀 있어도 한차례 대통이 있을 때마다 겨우 한 사람에 지나지 않았기 때문에 그렇게 대답한 거였다. 내가 소록(疏錄)을 작성하여28명을 적어 넣고 자세하게 그들의 세벌(世閥)과 과명(科名)및 문학과 정사(政社)의 우열(優劣)을 밝혀서 올리면서 말하기를 "이28명은 시급하지 않은 사람이 없으며 누구를 먼저 하고 누구를 뒤에 할 것인가는 오직 임금의 판단 여하에 있으니 신은 그것까지 관여할 수는 없습니다"라고 했더니, 며칠 후 대정날에 별도로 전관(銓官:吏曹判書 李文源原註)에게 유시하여 소록에 들어있는 사람 중 8명이 대통이 되게 하였다.며칠 뒤에 또다시 대통이 되고 몇년이 지나지 않는 사이에 거의 다 시행되었다.

을묘년(1795) 3월에 임금이 용산(龍山) 읍청루(?淸樓)에 납시어 강화도에 있는 왕손 인을 불러다가 연회를 베풀었다.금군(禁軍)들이 그 북쪽 을 지키기를 철벽처럼 하여 대신(大臣)이나 근신(近臣)들이 모두 들어갈수 없었다.연회가 끝나자 특별히 누(樓) 위로 나를 불러다 우부승지(右副承旨) 를 시켜 주셨다. 궁궐로 돌아오자 깊은 밤에 나를 부르셔 가보니 내 앞에 갑자기 머리 위로부터 땡그렁하는 소리를 내며 바닥으로 떨어지는게 있어 무언가 보았더니 상방검(尙方劍)이었다. 유시하시기를 "이가환·이익운 등이 속습(俗習)으로써 강화도에 귀양가 있는 사람(自首)을 성토한다는데 그들께 상소하여 자수(自首)토록 하라고 하시며 그렇게 하지 않으면 이 칼 로써 두 사람의 목을 베겠다"라고 하셨다. 나는 임금의 유시가 지당하며 거역할 필요가 없다고 여겨 물러나와 상소하도록 하여 일이 무사하게 되었다.

무인년(1818) 가을에 내가 살아서 돌아왔는데 목태석(睦台錫)이 지독한 내용으로 상소하였다. 나는 사람을 시켜서 말해 주기를 "너의 할아버지가 그 당시에 나에 대하여 논할 때에도 '처지로 보나 문장으로 보나 어떤 벼슬인들 못하겠나, 들어와서 임금 앞에 성실한 말을 하고 나가서는 여전히 추종하여 따라다니며 스스로 잘못을 고칠 생각을 않고 있다'고 하였다. 그런데 너는 지금 웬 독살을 이처럼 부리느냐? "라고 했었다.

혹자는 말하기를 "그건 그 집안의 가계(家計)로세"라고 하기도 했다. 이어서 영남 사람 신석림(辛碩林)이 상소로 목태석을 공격했던 일이 있는데 이태순(李泰淳)에게 보답하기 위해서였다. 나는 『주례(周禮)』를 연구하여 새로운 뜻을 많이 세웠다. 육향(六鄕)에 대한 해석은, 육향이란 왕성(王城)의 안에 있다. 장인(匠人)이 나라의 도시 계획을 이룩할 때에 9구(九區)로 만들어 왕궁(王宮)은 가장 가운데 위치하게 하였고 전면은 조정(朝廷)이고 후면은 저자(市)이고 좌와 우는 육향(六 鄕)이다.

양양상향(兩兩相嚮)이라 할 때 향(鄕)이란 향(嚮)이다. 76)하관(夏官)에서 사람 수를 헤아려 도(都)와 비(鄙)를 만드는데 모두 구주(九州) 로 만들었다. 기자(箕子)가 평양성(平壤城)을 만들 때에도 성(城) 안에다 정(井)의 모양으로 구획 정리를 했던 것은 다 그런 법이었다. 정현(鄭玄)은 육향이 교외(郊外)에 있다 했는데, "77)향삼물(鄕三物)로 만민을 가르친다" 라는 것은 모두 시행할 수 없게 되어버린다. 승지 신작(申綽)은 정현의 해석을 옳다고 고수하자 나는 왕복 서너 차례의 편지를 하면서 그렇지 않음을 밝혀 주었다.

직각(直閣) 김매순(金邁淳)이 나의 『매씨상서평(梅氏尙書平)』을 보고는 평(評)하기를 "미묘한 부분을 건드려서 그윽한 진리를 밝혀낸 것은 비위(飛衛)가 이(이)를 보고도 적중시킨 것과 같고 헝클어져 있음을 추려내어 견고히 굳어 있는 것을 찢어냈음은 포정(?丁)이 쇠고기를 재단해냈음과 같도다. 독한 손으로 간사함을 파헤쳐냈음은 상군(商君)이 위수(渭水)를 통치하던 것 같고  피흘리는 정성으로 올바름을 지키려 했음은 변화(卞和)가 형산 (荊山U)에서 울부짖던 거로다. 한편으로는 78)공벽(孔壁)의 어지러움을 올바르게 밝혀낸 원훈(元勳)이 되지만 한편으로는 주자(朱子)를 업신여기는 일을 막아낸 경신(勁臣)이다. 유림(儒林)의 대업(大業)이 이보다 더 클 수가 없도다. 아득하게 먼 천년의 뒤에 와서 온갖 잡초가 우거져 있는 구이(九 夷)의 가운데서 이처럼의 뛰어나고 79) 기이한 일이 일어났다고 말하지 않으랴" 라고 하였다.

 

다산 정약용(茶山 丁若鏞)과 시대

 

 

1762년(영조 38) 6월16일 사시(巳時:오전 9-11시)에 태어나 1836년(헌종 2) 2월 22일 진시(辰時:오전 7-9시) 에 세상을 떠났다.

일흔다섯 해를 살다 간 다산은 그의 생애 절반을 18세기에 살고, 나머지 절반은 19세기에 살았다.이 시기는 조선 왕조 몰락 100여 년 전으 로서, 구시대의 폐단이 점차 드러나면서 새로운 시대로의 전환의 움직임이 싹트고 있던 때이기도 했다.

그가 살다 간 시대에는 국내외적으로 수많은 역사적 사건들이 일어났다. 그가 태어난 해에는 사도세자가 뒤주에 갇혀 죽었다. 이 죽음은 시파(時派)와 벽파(僻派)의 싸움을 가져왔으며 당시 정치에 파란을 일으켰다.

1783년에는 이승훈(李承薰)이 우리 나라 최초로 세례를 받 고 천주교 신자가 되었다. 이는 서양 문물의 유입을 알리는 신호탄으로, 이후 조선은 서양 종교와 문물의 도입을 둘러싸고 진통을 겪어야 했다.

1800년 정조의 죽음은 조선 왕조뿐 아니라 다산 개인에게도 획을 긋는 사건이었다. 조선으로서는 영조 때부터 이어온 문예부흥이 종말 을 고하게 되었다. 이와 함께 세도 정치가 시작되고 봉건 사회의 내부 모순이 격화하여 홍경래(洪景來)의 난을 비롯한 민란(民亂)이 줄을 잇게 되었다.

한편 정조의 총애를 한몸에 받았던 다산은 정조의 죽음을 고비로 18년에 걸친 벼슬살이와 또다른 18년 동안의 귀양살이로 생애가 나뉘게 되었다.

세계사적으로도 이 시기는 근세 봉건시대에서 근대로의 이행기였다. 다산이 태어난 해에는 프랑스혁명의 사상적 뿌리라고 일컬어지는 루소의 "사회계약론"이 세상에 선보였으며, 1776년에는 미국이 영국으로부터 독립되었다.

그런가 하면 1789년에는 프랑스혁명이 일어나 수백 년 동안 지속되어 온 봉건시대의 구체제를 무너뜨리기도 하였다. 다산 정약용은 당시 시대의 모순과 질곡에 온몸으로 맞닥뜨리며 치열한 삶을 살다 갔다.

그는 19세기 초 조선 사회가 절박하게 요구하는 변혁의 방법과 방향을 제시하려 하였으며 잔혹한 봉건적 지배로부터 민중을 해방시키려 하였다.

또한 중화주의에 빠져 있던 당시 조선 사 회의 낡은 관념과 고정관념을 깨뜨리고 새로운 시야를 제시한 선각자이기도 하였다.
 
 

1 .다산생가-여유당

1762년(영조38 )음력 6월 16일, 한강의 물줄기가 잔잔하게 흘러나가는 작은 마을에서 다산은 태어났다.

당시의 행정구역으로는 광주군 초부방 마현리였으며, 지금은 경기도 남양주시 조안면 능내리로 변경된 곳이다. 다산 자신의 기록에 의하면 한강(烈水)의 상류 마현리, 즉 마재(馬峴)라고 표기하였으니 마재는 한강의 상류에 위치한 풍광이 아름다운 다산의 고향이다.

한강의 상류이자 마재 앞을 흐르는 강을 소내라고 불렀기에 많은 경우 자신의 고향 마을을 소내라고 호칭하고 그렇게 쓰기도 했다. 본래 다산의 성씨는 압해 정씨로서 지금의 전남 신안군 압해면인 압해도를 지칭하는데, 조선시대에 압해도는 나주목에 소속된 도서여서 뒷날에는 나주 정씨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다산의 기록에 의하면 자신의 선대는 고려 말엽 황해도 배천(白川)에서 살았으나 조선조 초엽에 서울로 옮겨와서 살았다고 한다.

다산의 선조들은 서울에 살면서부터 이씨 왕조에 벼슬하기 시작하여, 8대를 연달아 문과에 급제하여 관료생활을 하였고, 모두 옥당에 들어간 명문의 집안이었다. 다산의 5대조 정시윤은 옥당을 거쳐 병조참의를 역임했으나, 그분의 생존시기는 숙종 때로 당쟁이 극심하던 파란만장한 시기였다. 만년에 세 아들(道泰. 道復.道濟)과 서자 한 아들을 데리고 소내로 이사와서, 소내의 북쪽에 임청정(臨淸亭)이라는 초당을 짓고 술을 마시고 시를 읊으며 한세월을 보냈다고 한다. 중앙에 집을 지어 큰아들과 함께 살면서 동쪽에 두 아들이 살 집을 짓고 북쪽에서 서자가 살 곳을 마련하였으니 도태의 현손(玄孫)인 다산의 집은 바로 북쪽 집이던 서자가 살던 곳이었다고 한다.

격심한 당파싸움에서 실세한 남인계의 다산 집안은 고조, 증조,조부의 3대에 이르기까지 벼슬길에 오르지 못했다. 아버지때에 와서야 정조의 등극으로 남인계에 벼슬길이 트이자 음사(蔭仕)로 진주 목사까지 역임하나 소내에서 문과급제는 다산을 기다려서야 이루어진다.


강반(江畔)인 마재 마을은 다산이 태어나서 죽어간 곳이기도 하지만, 두미협을 지나 배를 타고 서울로 왕래했던 역사적인 수향(水鄕)이면서 다산의 일생에 전개되는 수많은 사건을 일으킨 사연 많은 마을이었다. 마을 뒷산의 이름이 유산(酉山, 뒷날 다산의 큰아들 학연의 호가 되었음)이어서 마을 이름을 유산이라고 불렀으며, 소내인 한강의 상류는 두호(斗湖, 다산 5대조의 호이기도 하다)라고도 불렀으니, 강안이 호수처럼 큰 넓이를 이루고 있던 탓이었으리라. 마재. 소내. 유산. 두호로 불리던 마을은 다산 큰형수의 아우인 광암(曠庵) 이벽(李蘗)이 누님 집을 찾아다니던 곳이요, 다산의 누님을 아내로 맞은 만천(蔓川) 이승훈(李承薰)이 처갓집으로 드나들던 곳이며, 다산의 질녀를 아내로 맞은 황사영이 처가를 찾아오던 곳이었다.

한국 천주교 초창기에 혁혁한 이름을 날리던 인물들의 발길이 잦았던 곳이기도 하지만, 당시 천주교 명도회장이던 다산의 셋째형 정약종이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천주교를 종교로 신앙하여 장렬한 순교를 했던 불굴의 혼이 태어나서 자라던 곳이기도 했다. 정약종과 친사돈간이던 홍교만(순교자)도 그곳을 출입했을 것이나 마재야말로 명실공히 서설(西說),서학(西學),서교(西敎),서서(西書),천주교,천주학으로 일컬어져 피어린 역사의 장을 남긴 역사의 현장이 아닐 수 없다.

겸하여 조선후기 역사의 서광이던 실학을 집대성한 학자가 다산이었으나, 그가 태어나 자라고, 연구하고 사색하며, 수많은 저서를 저작하고 정리하여 보관하고 죽어갔던 마재는 바로 이 나라 민족사의 한 맥이 되기에 부족함이 없으리라. 긴 유배생활에서 꿈에도 못 잊던 소내 위의 달빛을 그렇게 그리워했던 일이며, 배를 타고 고기를 잡아 술을 마시고 시를 읊었으며, 나라와 민족을 구제하고 인간을 해방시키려던 다산의 경륜과 포부가 그곳에서 배태되었을 것이니, 한 많은 다산의 생애에 소내야말로 끊으려 해도 끊어지지 않던, 운명적으로 묶인 실제의 고향이자 마음의 고향이었다.

다산의 당호이자 서재이던 여유당(與猶堂)은 그의 전 저작을 모은 전서의 명칭이 되었지만 바로 소내에 있을 때의 거실로서 다산학의 보금자리였음은 말할 것도 없다. 다산의 생가 일대에는 다산 선생이 생전에 터를 잡았다는 자신의 묘소를 비롯해, 만년에 독서와 저술 등의 공간으로 사용했던 사랑채가 복원되어 있다. 현재 마재는 세월의 흐름으로 다산의 기록에 나타난 것과는 그 모습이 많이 달라졌다.

"집 뒤의 자(子)의 방향언덕"(屋後負子之原)에 묻도록 했다던 묘소 앞에서 바라보는 소내는 팔당댐으로 물이 불어 큰 강을 이루고 있고, 중앙에 있던 큰댁, 동쪽. 서쪽에 있었다던 집들은 그 집터조차 흔적이 없다. 73세의 고령에 저서를 마무리하던 다산의 모습이 떠오르는 것 같아 가슴이 뭉클해진다. 75세의 나이로 일생을 마치는 동안 10여년의 벼슬살이, 18년의 귀양살이를 제외하고는 50여년의 세월이 머물렀던 곳이 바로 이곳이구나 여기니 만 가지 감회가 떠올라 발걸음이 떼어지지 않았다.

18세(1779)봄 화순의 아버지 임소에서 소내로 돌아와 지은 시를 읊어보자.


서둘러서 고향 마을 도착해보니

문 앞에는 봄 강물이 흐르는구나.

기쁜 듯 약초밭둑에 서고 보니

예전처럼 고깃배가 보이는군.

꽃이 만발한 숲 사이 초당은 고요하고

소나무 가지 드리운 들길이 그윽하네.

남쪽 천리 밖에서 노닐었지만

어디 간들 이 좋은 언덕 얻을 거냐!

-<환소천거(還f?川居)>-


그해 여름 서울에 있다가 다시 소내로 돌아와 읊었던 시에서는,

 

긴긴 여름 성읍(城邑)에서 근심하다

조각배 타고 수향(水鄕)으로 돌아왔네.

몇 집 없는 마을이어서 먼 곳도 바라보고

숲이 우거져서 서늘하기 그지없네.

-<하일천소천(夏日遷f?川)>-

 

라고 하였으니 티없이 맑은 소년 다산의 눈에 비친 소내의 그때 그 모습이 선하게 눈에 떠오르는 듯하다. 모략과 중상에 얽혀 일생 동안 편안한 날 없이 쫓기며 살았던 다산에게 소내는 분명히 안식의 고향이자 마음을 안정시켜주던 소생의 땅이기도 하였다. 다산은 다산초당을 떠나 만년을 고향집에서 보낼 수 있고 학문적 업적을 마무리할 수 있도록 해배의 명령이 내려진다.

1819년 9월 14일 '여유당'에 다시 돌아와 아내와 자식들 곁에서 편안한 여생을 살아갔다. 형의 집행이야 정지됐지만 복권이 되지 않았으니 감시를 당해야 했었나보다. 그의 문 앞을 지나면서도 들르지 않는 것이 이미 상례가 되었다고 해배 후의 서러움을 토로하였고, 그의 모든 저작을 짊어지고 돌아온지 3년이 되건만 어느 누구 함께 읽으려는 사람이 없다고 탄식한 적도 있었다. 그러나 다산은 75세의 천수를 다할 때까지 하늘을 원망하거나 남을 탓하지 않으며, 자기의 학자적 소신과 양심의 명령대로 500여권이 넘는 저서를 통해 사상.철학. 학문. 시를 남기고 미래를 기다리면서 살았다. 사회를 변혁시키기 위해서는 물질적 기반의 변혁을 꾀해야 하고, 사고체계를 변혁시켜야 한다는 기막힌 진리를 인류에게 제시하고, 이제 그는 태어난 집 뒤란에 편안히 잠들어 있다.

2.당호 여유당에 대한 다산의 생각

與猶堂記 (여유당기)

 

자신은 그만두고 싶어도 어쩔 수 없이 자신으로 하여금 그 일을 하게 하는 것은 이 일이 그만둘 수 없는 일이어서다. 자신은 그 일이 하고 싶어도 남에게 알리고 싶지 않아 자신에게 못하게 하는 것은 이 일이 그만두어야 하는 일이어서다. 일이 그만둘 수 없는 것을 늘 하다가도 자신이 이미 하고 싶지 않기 때문에 때에 따라 그만두게 되며, 일이 하고 싶은 것은 늘 하더라도 이미 남이 알지 못하도록 하고 싶기 때문에 역시 때에 따라 그만두게 된다. 참으로 이와 같이 되면 천하에는 온통 일이 없어버린다.

나는 나의 약점을 스스로 알고 있다. 용기는 있으나 일을 처리하는 지모(智謀)가 없고, 착한 일을 좋아는 하나 선택하여 할 줄을 모르고, 정에 끌려서는 의심도 아니하고 두려움도 없이 곧장 행동해버리기도 한다. 일을 그만두어야 할 것도 참으로 마음에 내키기만 하면 그만두지를 못하고, 하고 싶지 않으면서도 마음속에 담겨 있어 개운치 않으면 기필코 그만두지를 못 한다. 이 때문에 어린 시절에는 일찍이 방외(方外)에 몰두하며 의심하는 마음을 가지지 못했고, 이미 장년이 되어서는 과거 공부에 빠져 다른 것은 돌아보지도 않았으며, 서른이 넘어서는 지난 일에 대한 후회가 깊이 벌려졌지만 두려워하지를 않았다. 이러했기 때문에 무한히 착한 일만 좋아하다가 남의 욕만 혼자서 실컷 얻어먹게 되었다. 안타까운 일이다. 이 또한 운명일까. 성격 탓이겠으니 내 감히 또 운명이라고 말하랴.

노자(老子)의 말에 "여(與)여 ! 겨울의 냇물을 건너는 듯하고, 유(猶)! 사방이 두려워하는 듯하거라" 라는 말을 내가 보았다.

안타깝도다. 이 두 마디의 말이 내 성격의 약점을 치유해 줄 치료제가 아니겠는가. 무릇 겨울에 내를 건너는 사람은 차가움이 파고 들어와 뼈를 깎는 듯할 테니 몹시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면 하지 않을 것이며, 온 사방이 두려운 사람은 자기를 감시하는 눈길이 몸에 닿을 것이니 참으로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면 하지 않을 것 이 다.

남에게 편지를 보내어 경례(經禮)의 이동(異同)에 대하여 논변하고 싶은데 이윽고 다시 생각해 보니 비록 하지 않는다 해도 괜찮을 일이다. 비록 하지 않더라도 괜찮은 일은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니 부득이한 경우가 아니면 그만둔다. 상소를 올려서 조정 신하들의 잘잘못을 의론하고 싶은데 이윽고 다시 생각해 보니 이는 남에게 알리고 싶은 일이 아니다. 남이 알지 못하게 하고 싶은 것은 마음에 크게 두려움이 있는 경우이니, 마음에 크게 두려움이 있는 것은 또한 그만둔다. 진귀한 골동품들을 널리 수집하여 감상하고도 싶지만 또한 그만두며, 벼슬살이하면서도 관의 재화를 요리해서 나머지를 훔치고 싶어도 또한 그만둔다.

마음 속에서 일어나고 뜻 속에서 자라나는 것이 매우 부득이하지 않으면 또한 그만두며, 비록 매우 부득이하더라도 남이 알지 못하게 하고 싶은 것은 또한 그만둔다. 참으로 이렇게 하면 세상에 일이 있겠는가. 내가 이러한 의미를 해득해낸 지가 6, 7년이나 된다. 당(堂)의 이름으로 하고 싶었지만 이윽고 다시 생각해 보고 그만두어버렸다. 초천(苕川)으로 돌아옴에 이르러 비로소 써가지고 상인 밖에 써서 붙여놓고 아울러 이름 붙인 이유를 기록해서 아이들이 보도록 하였다.

<주1>여(與)는 의심이 많은 동물 이름이며, 유(猶)는 겁이 많은 동물의 일종이다

 

 

 

 

 

1.다산의 유배생활

1)다산의 유배 경위

학문을 사랑하고 나라의 힘을 기르기 위해 인재를 골고루 기용해서 쓸 줄 알았던 정조가1800년 6월 28일 뜻밖에 세상을 뜨고 말았다. 이 이후로 정조가 그 학문의 깊이로 인해 마음으로 깊이 아끼던 정약용의 삶에 살얼음이 끼기 시작하였다.
당시 끊임없는 당쟁으로 시파와 벽파의 싸움이 계속되었고 서양사상과 함께 전래된 천주교까지 민간에 파고들어 세력을 키울 때에 사학죄인으로 몰리던 다산의 집안에도 무거운 근심의 그늘이 쌓여 있었다. 승지를 지내고 병조참의를 지내면서 재상의 벼슬이 눈앞에 있던 다산, 천주교도라는 모함에 휩싸여 편안하던 날은 다 지나가고 시련의 시기가 도래하고 있었다. 천주교 신자가 아님을 자초지종 상세히 토로한 장문의 상소를 올려 임금까지도 통쾌하게 사실을 파악하여 목민관으로 나가 훌륭한 치적을 올리고 돌아왔건만, 시기하고 모함하던 다산의 반대파들은 그냥 두지를 않았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나라에서 그렇게 심하게 금령을 내리고 탄압을 했지만, 자형 이승훈과 바로 손위 형님인 정약종 등은 천주교에 깊이 빠져 화란이 닥쳐옴도 모르고 천주교를 전도하고 호교론을 펴면서 페족으로의 길만 걷고 있었다. 그러던 무렵 다산을 가장 아끼고 사랑해주며 가장 큰 보호막이던 일세의 영특한 임금 정조대왕이 뜻밖에 세상을 뜨고 만 것이다.
 정조의 위세로 약간은 점잖던 벽파들이 벌떼처럼 일어나 진보적인 학자들까지 모두 천주교 신자, 즉 사학죄인으로 모함하여 죽이고 말겠다는 듯 기세 당당히 판을 벌이고 있었다. 정조의 장례를 치르자마자 화란이 일어나 이가환, 권철신, 이승훈, 이기양, 정약전, 정약종, 정약용등이 모두 감옥에 갇히고, 끝내는 대부분 목을 베이고 약전, 약용은 겨우 목숨만 부지하여 천리타향인 전라도의 흑산도와 강진군으로 기약없는 유배살이를 떠나는 일이 벌어지고 만 것이다.
때는 1801년 신유년 봄, 음력 2월 28일 만물이 소생의 기운으로 들녘이 푸릇푸릇 생기를 돋우워 갈 무렵이었다.  
사학(천주교)에 물들었다는 이유로 신유사옥에 연루된 다산은 이로 인한 계형 약종의 참형을 가슴으로 쓸어내리며 경상도 장기로 떠나게 된다. 같은 이유로 중형인 손암 약전도 전라도 신지도로 떠나갔다. 거기서 봄.여름. 가을을 다 보낸 10월 20일 밤, 황사영의 백서사건(천주교인 황사영이 신유사옥의 내용을 북경에 있던 구베아 주교에게 비밀히 알리려던 사건-황사영은 정약용의 맏형 정약현의 사위)으로 인해 또 다시 체포되어 서울로 올라온다.
 일련의 이러한 사건들은 겉으로는 천주교와 관련된 종교사건인 것처럼 보였지만 실상은 벽파가 정약용을 비롯한 남인계 시파를 제거하기 위해 일으킨 정치적 사건이었던 만큼 그들의 생명은 심각한 위협을 받고 있었다. 그러나 혐의가 없는 다산 형제를 어떻게 죽일 수 있었겠는가.  
무혐의로 감옥에서 풀려난 두 형제가 또 다시 오랏줄에 묶이어 다산은 강진으로, 손암은 흑산도로 떠나던 날이 그 해 11월 5일이다. 형제는 나란히 산을 넘고 물을 건너 나주읍에서 북쪽으로 5리 지점에 있던 율정점까지 와야했다. 그곳에서 잠을 자고 나면 각자의 귀양지로 떠나야 한다. 강진은 나주에서 남쪽으로, 흑산도는 서쪽으로 가야만 한다.  오랏줄을 풀고서 헤어지던 날은 11월 22일 이었다. 헤어지면 다시 만날 기약이 없는데 형제는 어떻게 눈물을 참을 수 있었으랴....

그리운 정 가슴에 품은 채 두 사람 말을 잃어
억지로 말 꺼내니 목이 메고 오열 터지네.  <율정별(栗亭別)>

그들은 이렇게 헤어져 평생 다시 만나지 못하고 말았다.

2)강진의 동문 밖에서

 다산은 눈보라치는 북풍을 안고 영산강을 건너고 월출산을 넘어 귀양지 강진에 도착한다. 역적에 다름없는 국사범이던 탓으로 행여 말이라도 걸거나 눈으로 보기만 해도 큰 전염병에라도 걸릴 듯, 거들떠보거나 말을 붙이기도 꺼려하였으며, 누구 하나 쉽사리 숙소를 내주는 이 없었으니 더군다나 추운 겨울 다산의 마음을 더욱 시리게 하였을 것이다. 다행히도 가난한 주막집의 노파가 따뜻한 인정으로 뒷방 하나를 내주어 겨우 잠자리를 하나 얻게 되었다.

....방에 들어가면서부터 문을 닫고 밤낮으로 외롭게 혼자 살아가자 누구하나 말 걸어주는 사람도 없었다. 그러나 오히려 기뻐서 혼자 좋아하기를 "나는 겨를을 얻었구나" 하면서, <<사상례>>3편과 <<상복>>1편 및 그 주석을 꺼내다가 정밀하게 연구하고 구극까지 탐색하며 침식을 잊었다....

                                                     -<<상례사전(喪禮四箋)>> 서문-

 정약용은 그 오막살이 주막의 뒷방에 사의재(四宜齋)라는 지극히 선비다운 당호를 붙이고 만 4년을 지냈다. 사의재란 생각, 용모, 언어, 동작의 네 가지를 의로써 규제하여 마땅하게 해야 할 방이라는 뜻이다.

 사의재(四宜齋)란 내가 강진에서 귀양살이하며 살아가던 방이다.
생각은 마땅히 맑아야 하니 맑지 못함이 있다면 곧바로 맑게 해야 한다.
용모는 마땅히 엄숙해야 하니 엄숙하지 못함이 있으면 곧바로 엄숙함이 엉기도록 해야 한다.
언어는 마땅히 과묵해야 하니 말이 많다면 곧바로 그치도록 해야 한다.
동작은 마땅히 후중하게 해야 하니 후중하지 못하면 곧바로 더디게 하도록 해야 한다. 이런 때문에
그 방의 이름을 '네 가지를 마땅하게 해야 할 방'(四宜之齋)이라고 하였다. 마땅함이라고 하는 것은 의에 맞도록 하는 것이니 의로 규제함이다. 나이만 들어가는 것이 염려되고 뜻 둔 사업은 퇴폐됨을 서글프게 여기므로 자신을 성찰하려는 까닭에서 지은 이름이다. 때는 가경 (嘉慶)8년(1803) 11월 10일 동짓날....

                                                      -사의재기(四宜齋記) 중에서-

 귀양온지 3년째인 갑자년(1804년) 10월에는 <<상례사전>>이라는 방대한 <<예기>> 연구서를 완성하기에 이른다. 그리고 그 전해(1803년) 봄부터 연구하기 시작하여 동짓날인 11월 10일부터 본격적으로 저술을 시작하여 갑자년 겨울에는 <<주역>> 연구서의 초고인 '갑자본'을 완성하였던 것이다.  
 사의재는 다산의 많은 경전연구 중에서도 가장 득의의 연구로 자부했던 <<상례>>와 <<주역>>연구의 산실임에 분명하다. 다산은 그만큼의 노력을 기울여 그 어렵던 시절에 그런 연구를 이룩해내었던 것이다.
 다산은 줄곧 사의재에 파묻혀 지내며 학문연구에 골몰할 뿐이었는데 다행히 그 시절에 강진에서 멀잖은 고금도에 귀양와 있다가 풀려서 서울로 돌아간 친구 '김이재'가 다산에 대하여 충분한 설명을 해주었던 탓으로 다산에 대한 경계의 눈빛이 다소 풀렸다고 한다. 그래서 예부터 알고 지내던 향촌의 윤씨 일가와 왕래하기 시작하였고, 읍내 이속들의 자제들이 글을 배우러와 훈장노릇을 하기도 하였다. 다산은 이곳 사의재에서 불철주야 학문을 연구하고 철학적 논리를 세워가는 한편, 때때로 농어촌 강진 풍물을 시로 읊으며 가난하고 궁핍한 18세기 후반의 모습을 그림으로 그리듯 묘사했다. <<아학훈편의>>라는 2천자로 된 아동용 교과서를 편찬하여 천민의 자식들을 가르쳐주기도 하고 관리들의 횡포에 시달리는 백성들의 고달픈 모습에 한없는 눈물을 흘리기도 하였다.
격과 율에 까다로운 중국시에서 벗어나 우리 감정과 우리 숨결에 맞는 '조선시'를 짓게노라던 다산답게 높새바람(高鳥風), 마파람(馬兒風),밥모( 다산기행252    ), 돈모(
   ), 바깥양반(      ), 뇌물(人情)등 수없이 많은 전라도 토속어를 시어로 활용하면서 우리말과 우리풍토를 사랑하였다.  

3)보은산방과 제자 이청의 집

1805년 강진읍의 뒷산 보은산방(현 고성사)으로 거처를 옮긴 다산은 이곳에서 당대의 유명한 승려인 혜장(1772∼1811)과 만나게 되고 이 유교와 불교의 학문적 만남은 후에 다산이 『大芚寺誌(대둔사지)』·『萬德寺詩(만덕사시)』등 불교관계의 저술을 남기게 된 계기가 되기도 하였다.
다산은 이곳에 머물며 주로 주역을 연구했다.
 고성사는 바로 보은산방, 다산의 <<주역>> 연구서가 저작된 산실의 하나이고, 아들에게 <<상례>>와 <<주역>>을 가르치던 서당이기도 했다. 우두봉은 그리운 손암 형님을 사모하여 한없이 눈물을 흘리던 산봉우리이다. 보은산, 우두봉, 우이산, 북산, 형제봉 등의 이름을 지닌 강진읍의 뒷산은, 다산이 8년 동안 강진읍에 머물던 시절에 가끔 올라가 답답한 마음을 풀고, 보고 싶은 중형 손암 선생을 그리워하던 곳이다. 다산보다 네 살 위인 손암은 학문과 덕행으로 다산이 언제나 선생님으로 모시던 형제지기의 기막힌 사이였다. 귀양올 때에 율정점에서 헤어진 뒤, 만날 길이 없던 두 형제는 서로 그리워하다 지칠 지경, 우연히 동명의 섬과 산 이름이 울컥 형님 생각을 간절하게 해주어 다산이 오열을 터뜨리고 말았던 곳이 바로 여기이다.

 절정에 오르고 나서 서쪽을 바라보니 바다와 산이 얽혀 있과 안개와 구름이 꺼졌다 솟으며 나주의 여러 섬들이 역력하게 눈 앞에 있었다. 다만 어떤 것이 형님이 계시는 우이섬인가를 가리지 못했다. 이날 중 한 사람이 따라왔는데, 그 중이 말하기를, "보은산의 다른 이름은 우이산이고, 절정의 두 봉우리는 형제봉이라고도 합니다" 라고 하였다. 바다를 사이에 두고 형님이 계신 곳과 내가 있는 곳 두 곳 이름이 우이이고, 봉우리 이름 또한 형제봉이라니 결코 우연만은 아니었다. 그래서 슬퍼만지고 산에 오른 기쁨이라고는 없어져버렸다. 돌아와서 시를 지었다.

나주의 바다와 강진 사이 200리
험준한 우이산을 두 곳에 만들었네

3년 동안 묻혀 살며 풍토를 익혔으나
흑산도의 이름이 여기 있음 몰랐네

인간의 안력이야 애쓴들 멀리 못 봐
백 보만 멀어져도 눈앞이 희미해라

더구나 흙비 구름 끼어 술빛처럼 짙으니
눈 앞의 섬들이야 더욱 구별 어렵구나

손에 준 옥돌 신표 바라본들 무엇하랴
괴로운 마음 쓰린 창자를 남들은 모른다네

꿈속에서 서로 본 듯 안개 속 바라보니
눈물만 흐르고 천지는 어둑해라

       <구일등보은산절정망우이도(九日登寶恩山絶頂望牛耳島)>
   

 산의 중턱에는 겨울부터 다음해 여름까지 큰아들과 함께 기숙하며 <<주역>> 연구서 "병인본"을 완성했던 고성사가 있다.  
 다산이 이 고성사에 머물게 되는 데에는 사연이 있다. 1804년 4월 17일 다산은 읍내에 있으면서, 읍내에서 멀지 않은 만덕산의 백련사로 유람을 갔다. 뒤에 다산이 10년 동안 살았던 다산초당의 동편에 있는 꽤 큰 규모의 절이 백련사다. 거기에는 해남 대흥사의 큰 학승인 혜장선사가 묵고 있었다. 그날 다산과 혜장과의 해후는 획기적인 사건이었다. 불교의 교리는 물론 유교 경전에도 해박하고 시문에도 뛰어난 혜장은 그 뒤로 다산의 유배살이에 많은 도움과 협조를 아끼지 않았다.
 혜장은 다산에게 경학을 배우는 한편, 그 지방에서 자생적으로 생산되던 차를 권유하여 그 뒤로 다산은 다도에 일가견을 지니게 되었다. 더구나 중요한 점은 혜장의 도움으로 읍내의 협소한 움막집에서 벗어나, 조용하고 깨끗한 절에서 연구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것이다. 고성사와 백련사를 소개해 주어 틈만 있으면 찾아가서 편히 쉬고 마음껏 연구를 계속할 수 있었으니 얼마나 다행한 일이었겠는가. 더구나 백련산나 고성사는 대흥사의 말사(末寺:본사(本寺)의 지배를 받거나 본사에서 갈려나온 절-속사(屬寺))였으니 혜장의 영향력은 대단하였으리라
 다산이 고성사나 다른 절에 머물 때 혜장이 자주 찾아왔다.  때로는 술까지 사와서 함께 취하도록 마시고 주흥에 겨워 유배의 서러움을 잊고 수없이 많은 시를 짓기도 하였다. 주우(酒友). 시우(詩友). 학우(學友)로서 혜장은 다산의 유배생활에 더할 수 없는 도움을 주었던 것이다. 다산 시집에는 혜장과 주고받은 수없이 많은 시가 있으니, 그들의 시흥과 우정이 어떠했나를 알아보기 어렵지 않다.

우두봉 아래 조그마한 선방에는
쓸쓸하게 대나무가 낮은 담 위로 솟았구나

작은 바다의 바람에 밀리는 조수는  산밑 절벽에 이어지고
읍내의 연기는 겹겹의 산줄기에 깔렸네

둥그런 나물 바구니 죽 끓이는 중 곁에 있고
볼품없는 책상자는 나그네의 여장이라

어느 곳 청산인들 살면 못 살리
한림원 벼슬하던 꿈 이제는 아득해라

              -<제보은산방(題寶恩山房)>-

1806년(순조 6) 가을 다시 그의 제자인 강진읍 목리(牧里)의 이학래(李鶴來)집으로 옮겨 거처하였다.

4)다산 초당


<다산초당(茶山草堂)>
 
1808년 (순조 8) 봄에 해남윤씨들에 의해  茶山草堂(다산초당)으로 옮겨 생활하게 되었다.
이곳에서 유배가 풀릴때까지 머무는 동안 (1808∼1818.9) 18제자와 강론 (講論) 및 본격적인 학문탐구와 <목민심서>, <흠흠신서>, <경세유표>등 500여 권의 저술활동이 이루어져 조선 실학사상의 산실이 되었다.  
사적 제107호인 다산 초당은 강진만(구강포)이 한눈에 바라보이는 만덕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으며, 18년의 유배 생활 가운데 10년을 지냈던 곳으로 다산의 체취가 그대로 간직된 다산4경(정석,약천,다조,연지석가산)을 볼 수 있다.

초당 오르는 길

 다산의 유배생활은 다산 자신에게는 어떤 의미가 있었을까...
고통과 그리움과 자신의 끝없는 학문에의 욕구, 임금과 백성을 사랑함에도 불구하고,
죄없음을 죄있다한 시대의 회오리 바람을 어떻게 다 견디어 냈을까
오늘날 우리에게 다산을 다산이게 한 대부분이 이곳 강진에서의 생활이었음을 생각하면서
초당으로 오르는 길은 착잡하고도 숙연하였다.


겨울에도 푸른 대숲의 바람을 느끼며 그 가 걸었을 이 길... 그것은 온갖 시기와 미움으로 부터 자신의 지조를 꺾지 않는  올곳은 선비의 길이었을 것이며, 수행의 길이었을 것이며, 임금과 백성을 위해 기꺼이 감수 하는 사랑의 길이었을 것이고,  또 기도와 용서의 길이었을 것이다.  
초당으로 오르는 날, 그 날 따라 대숲의 이른 봄, 저녁 바람이 부드러워서 마치 그 분의 따뜻한 안내를 받는 듯 하였다.

  정약용이  다산초당으로 거처를 옮긴 것은 귀양살이 8년째 되던 1808년 봄이었다.
다산초당은 본래 귤동마을에  터잡고 살던 해남윤씨 집안의 귤림처사 윤단의 산정이었다. 정약용이 아홉살  되던 해 세상을 떠난  그의 어머니 조선시대 3재의 한분으로  꼽히던 공재 윤두서의 손녀이고 윤두서는 고산  윤선도의 증손이니  귤동마을 해남윤씨들은 정약용에게 외가 쪽으로 일가뻘이 되었다.
  귀양살이가 여러해 지나면서 삼엄했던 관의 눈길이 어느 정도 누그러지자 정약용의 주위에는  자연히 제자들이 모여들었는데 그 가운데 윤단의 아들인 윤문거  세형제가 있어서 정약용을 다산초당으로 초빙했던 것이다.
 
정약용은 이 산머리 가까이에 있는 작은 초당(사적 제 107호)에서 지내게 된 것은 어쩌면 유배생활중 그중 나은 생활이었다고도 할 수 있다. 동문 밖 생활에 비해선 모처럼 학문을 계속할 수 있는 얼마만큼의 안정감을 얻은 것 같기도 하다. 18년의 유배생활 가운데 이곳에서 10년을 지내면서 500여권에 이르는 방대한 저서와 사상을 이루어 내었으니 그분에게 고개가 숙여지고 또 고개가 숙여진다. 해마다 봄이 오고 또 봄이 왔겠지만 강진에서의 초라하고 외로운 생활은 늘 겨울, 또 겨울이었을 것인데 그는 자신을 꾸준히 채찍질하고 연마하며 스스로를 불태웠을 것이다. 어쩌면 초당 곁의 이른 봄 꽃을 피운 붉은 동백을 보며, 자신의 겨울을 이겨내고 또 일구워 냈을지도 모른다.
언제 끝날지 알 수 없는 자기생애의 한 겨울속에서 동백꽃처럼 붉게 학문과 사상을 피워 올린 것이다.

다산초당은 세월이 흐르고 무너져 폐가가 된 것을 1958년에 다산유적보존회가 현재의 5칸도리 단층기와집으로 증건한 후 선생께서 우거하셨던 동암과 제자들의 유숙처인 서암을 복원하였다.
 다산은 당시 좌우에 동암(동庵)과 서암(西庵)을 짓고 주로 동암에서 기거하며 "천여권의 책을 쌓아 놓고 스스로 즐겼다." 본래의 초당은 초가로 되어 있었으나 1936년에 허물어져 옛 모습은 찾아볼 수 없다. 현재의 건물은 1958년 강진 다산유적보존회가 옛 건물터에 중건한 것으로 정면 3칸, 측면 1칸의 瓦家(와가) 팔작집이다.
東庵(동암)은 초당에서 남동쪽으로 약 35m 떨어진 곳에 자리하고 있는데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와가 맞배집이다. 1974년 다산유적복원위원회가 중건하였는데 구 건물은 西庵(서암)과 함께 초가였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西庵(서암)은 초당의 동쪽 아래편에 있는데 「茶星閣(차성각)」이란 현판이 걸려 있으며, 정면 3칸 측면 1칸 반의 맞배집이다. 역시 1974년 동암과 함께 중건되었다.  )
  서암은 주로 윤단의 아들과 손자들로 이루어진 제자들의 거처로 교실로 썼다.
 초당에 걸린 '다산초당' 현판과 동암에 걸린 '보정산방'(寶丁山房:정약용을 보배롭게 모시는 산방) 현판은 모두 추사 김정희의 글씨를 새긴 것이다. 그중 '다산초당' 현판은 추사의 글씨를 여기저기서 집자해 만든 것이지만 '보정산방'은 김정희가 중년쯤 되었을 무렵 일부러 쓴 것 인 듯, 명필다운 능숙한 경지를 보인다. 김정희는 정약용보다 24년 연하였지만, 평소 정약용을 몹시 존경했다.  한편 동암에는 다산의 글씨를 집자한 '다산동암'이라는 현판도 함께 걸려 있다. 그 시절 정약용은 다산초당에서 "나무 한 그루, 풀 한 포기 병들지 않은 것이 없는" 이 땅과 그 병의 근원을 깊이 들여다보았으며, 젊었을 때는 물론 벼슬하던 번거로운 시절에도 늘 마음에 두었던 실학과 애민(愛民)의 길을 묵묵히 걸어갔을 것이다.
 그가 저술의 대부분을 썼던 다산초당(茶山草堂)은  한 채의 작은 초가에 불과했지만 다산의 끝없는 학문에의 열정으로 후세에 길이 남는 커다란 정신을 일궈낸 것이다.

2. 다산4경(茶山四景)

 다산4경이란 초당에서 다산의  마음과 손길이 닿았던 정석, 약천, 다조, 연지석가산을 두고
후에 사람들이 다산4경이라 부르고 있는 것이다.  
다산의 정갈한 낭만을 느낄 수 있는 풍경들이다.

1)정석

정석(丁石)

죽각(竹閣)서편 바위가 병풍같으니
부용성(芙蓉成)꽃주인은 벌써 정씨(丁氏)에게 돌아왔네
학이 날아와 그림자지듯 이끼무늬 푸르고
기러기 발톱 흔적처럼 글자는 이끼속에 또렸하다.
미로(迷路)처럼 바위를 경배하니 외물(外物)을 천시한 증거요
도잠(導潛)처럼 바위에 취했으니 제몸 잊은 것을 알리라
부암(傅巖)과 우혈(禹穴)도 흔적조차 없어졌는데
무엇하러 구구하게 또 명(名)을 새기리오

선생의 체취가 그대로 새겨진 정석,바위에 새긴 「정석(丁石)이란 글자.
해배를 앞두고 발자취를 남기는 뜻에서 커다란 바위에 새긴 것이다.
다산선생의 정갈하고 꼿꼿한 기품이 느껴지는 글씨다.
다산은 거기서 자기와의 싸움에서 이겨내고, 역경을 오히려 학문의 기회로 삼아
선비로서의 삶을 다했던 것이다.
또한 자신의 결백함과  올곧은 마음을 길이 길이 후세에 남기고 싶었는지도 모른다
글씨에서는 기교를 부리지 않은 선비의 올곧은 심성이 베어나온다.

2)약천

약천(藥泉)

옥정(玉井)이 흐레는 없고 모래만 깔렸으니
한바가지 떠마시면 찬하(餐霞)보다 상쾌하다오
처음엔 돌틈의 승장혈(承漿穴)을 찾았는데
도리어 산중에서 약닳이는 사람이 되었네
길을 덮은 연한 버들 비스듬히 물에 떠있고
이마에 닿은 작은 복숭아 거꾸로 꽃을 달고 있네
담도 삭이고 묵은 병도 낫게하는 약효는 기록할 만하고
나머지 또 길어다가 벽간다(碧磵茶)끓이기에 좋다오

 초당의 왼쪽 뒤편에는 작은 옹달샘이 하나 있다.
다산 생전에 식수로 사용했다는 약수는 지금도 그 맛이 달고 청량하기가 이를데 없다.
이 샘은 가뭄에도 마르지 않고 맑은 물이 솟아난다고 한다.
다산은 초당 뒷편에 바위 틈을 파서 이 약수터를 만들고, 그 이름을 약천(藥泉)이라고 했다
다산에서 자생하는 차를 약천의 맑은 물로 정갈한 차조 위에서 끓여 마시면서
"시원하기가 마치 안개를 머금는 듯 하다"고 했으니 그 은은한 맛이  
초당의 아침 안개처럼 입안에 맴도는 듯 하다.
"나는 하늘과 땅 사이에 홀로 서 있다" 고 한 다산의 독백, 아득한 하늘가 절역(絶域)에서의 그 고독을 어쩌면 그 차로서 다스렸는지도 모를일이다.

3)다조

다조(茶 )

푸른 돌 평평히 갈아 붉은 글자 새겼으니
차 끓이는 조그만 부뚜막 초당앞에 있구나
반쯤 다문 고기목같은 아궁이엔 불길 깊이 들어가고
짐승 귀같은 두 굴뚝에 가는 연기 피어나네
솔방울 주어다 숯 새로 갈고
매화꽃잎 걷어내고 샘물 떠다 더 붓네
차 많이 마셔 정기에 침해됨을 끝내 경계하여
앞으로는 단로(丹爐)를 만들어 신선되는길 배워야겠네

초당 앞 마당에 크고 넓적한 바위가 하나가 있다.
이것이 다산이 솔방울을 지펴 차를 끓이던 다조이다.
다산은  초당 앞 뜰 앞에 크고 널찍한 바위를 옮겨다 놓고, 이 바위에서 차를 끓였다.
뒤꼍 약천에서 맑은 물을 떠다가 앞마당 다조 위에서 솔방울을 지피며 차를 끓여 마셨던 다산
차를 마시며 매일 매일 마음을 새롭게, 정신을 맑게 하기를 끊임없이 하여
그 많은 저술의 힘을 키워냈는지도 모른다.

 

4)연지석가산과 비류폭포

연지석가산(蓮池石假山)

갯가의 괴석 모아 산을 만드니
진짜 산보다 만든 산이 더 멋지구나.
가파르고 묘하게 앉힌 삼층탑 산
오목한 곳 모양따라 한가지 소나무를 심었네
서리고 휘감긴 묘한 모습 지봉석을 쭈그리고 앉힌 듯
뾰족한 곳 얼룩 무늬 죽순이 치솟은 듯
그 위에 산 샘물을 끌어다 빙둘러 만든 연못
물밑 고요히 바라보니 푸른 산빛이 어렸구나

 

초당을 향하여 오른쪽으로 작은 연못이 하나 보인다.
이것은 다산이 바닷가의 돌을 주워 만든 연지석가산이다.
연못을 파서 연과 잉어를 키우고, 물 가운데는 석가형상의 돌을 놓아
마음을 비우고 가만히 물위를 바라보노라면 아름답고 새로운 세계하나가  물 위에 펼쳐지는듯 하다. 또한 산위에서 흐르는 물을 이용해 작은 비류폭포를 만들어 자연의 음악과 정취를 즐겼으며 주위에는 동백과 작은 꽃들을 심어 마음을 달래었다.

3. 천일각(天一閣)

초당을 옆으로 약간 비켜나서 산길을 접어들어보면 바로 천일각이 있다.
갑자기 시야가 확 트여 한눈에 구강포(강진만)가 시원하게 들어온다.
다산은고향 마현이 그리울때마다 이 자리에 섰으리라
고향의 앞강 소내에서 지내는 가족들이 얼마나 보고싶었을까...
또한 멀리 흑산도로 유배된 둘째형 약전을 그리며 애달프고 간절하게 서 있던 곳이다.
이곳은 다산의 그리움을 바람에 띄워보는 산언덕이었는데
후에 다산유적보존회에서 천일각을 세운 것이다.
천일각이 있는 옆 산길은 다산과 혜장이 오고가던 백련사로 이어져 있다.

 

4.정약용의 호 '다산' 은 어떻게 지어졌을까

다산 초당이 있는 산에는 차나무가 많이 자생하고 있었다고 한다.
그래서 마을사람들은 만덕산이란 이름을 가지고 있는 이 산을 '다산(茶山)'이라고 불렀다.
이곳에서 차에 깊은 맛을 느끼고, 그 정신을 배우며 즐겼던 정약용은 자연스럽게
다산이라 불리워 졌으니 바로 차나무가 많은 다산에 사는 사람이란 뜻이다.  
마을사람들은 다산에 사는 정(丁)씨라 하여 정다산(丁茶山)이라 불렀으며, 이 후로부터 정약용은 다산(茶山)을 자신의 호로 쓰기 시작했다고 한다.
호에 있어서도 유별나게 거창한 것을 좋아하지 않았던 다산은
한강변에 살 때에도 '열수'(한강 이란뜻)정약용으로 스스로를 소개하기도 하였다.

 

5.다산기념관 소개

ㅇ 전 시 관 : 122평
ㅇ 주 차 장 : 600평
ㅇ 개 관 일 : 1999.8.7
ㅇ 관람시간 : 09:00∼18:00
   *동절기(11∼2월) : 09:00∼17:00
ㅇ 연중 휴무일 없음.

 

 다산유물전시관은 다산초당 남쪽 700m 지점에 위치하며, 다산 정약용 선생의 생애와 업적 등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꾸며져 있다.


영정, 다산연보, 가계도, 학통, 다산의 일생, 다산의 업적과 유물 등이 판넬과 조형물로 입체감 있게 전시되어 있으며, 좀더 자세한 정보를 알고 싶을때는 컴퓨터를 활용한 터치스크린에서 검색해 볼 수 있다.

영상실은 다산의 일생과 강진을 소개하는 영상물이 약7분 동안 상영되는데 관광객이 영상실에 들어가면 자동으로 상영되므로 누구나 불편 없이 관람할 수 있다.

전시관 앞 광장에 대형버스 15대 이상이 주차할 수 있어 학생들의 수학여행 등 단체관광에도 아무 불편이 없다.

■ 관광코스

ㅇ다산유물전시관 → 다산초당 → 다산유물전시관

ㆍ 다산유물전시관에서 하차하여 유물전시관을 관람하고 오솔길로 걸어가 다산초당 을 관람 한 후 다시 되돌아 오는 코스

ㆍ 가족단위의 승용차 이용 관광에 적합하다.

ㅇ다산유물전시관 → 다산초당 → 백련사

ㆍ 다산유물전시관에서 하차하여 차량은 백련사로 가서 대기하고 관광객은 전시관 및 다산초당을 관람한 후 초당에서 산중턱으로 나있는 오솔길을 따라 백련사로 넘어가는 코스

ㆍ 이 오솔길은 지난날 초당에 거처하시던 다산선생과 백련사에 거처하던 해장선사가 서로 교우를 위해 오가던 길이며, 산길을 가는 동안 강진만이 시원스럽게 내려다 보여 경치가 좋다.

ㆍ 대형버스를 이용한 단체관광에 좋은 코스 (약 1시간 소요)

* 백련사로 먼저 갈 경우에는 코스를 반대로 관광해도 좋음.

■ 알아두면 좋은 점

ㆍ 다산유물전시관이 개관되기 전에는 귤동마을 앞에 주차하고 다산초당을 관람하였으나 유물전시관이 개관된 지금은 유물전시관으로 가서 주차하는 것이 전시관도 관람할 수 있고 또 다산초당을 관람하는 데도 거리가 더 가까워 좋다.

ㆍ 특히 단체관광일 경우 유물전시관 안내소에 요청하여 다산초당에 대한 설명과 안내를 받을 수 있으며

ㆍ 유물전시관을 먼저 관람하여 다산선생에 대해 이해를 더한 후 다산초당 을 관람하는 것이 보다 효과적이다.

 

6.찾아 가는 길

1) 강진버스터미널 앞에서 해남 방면 18번 국도를 타고 2km쯤 가다가 강진군 도원리 추도 3거리에서 좌회전, 완도 방면 구도 2호선을 타고 7km쯤 가면 된다.

 

7.주변관광

1)전남강진군강진읍을 지나 고금도가 건너다 보이는 마량까지 강진만 동쪽 가장자리를 따라 내려가는 23번 국도는 겨울바다 정취를 만끽할 수 있는 드라이브코스. 반대쪽 서쪽으로는 백련사와 다산초당이 있는데 만을 따라 늘어선 갈대의 풍경이 아름답다. 특히 다산초당 바로 옆에 있는 천일각에서 바라보는 구강포 앞바다는 정겹기 그지없다. 호수처럼 잔잔한 남쪽바다 너머로 건너편 도암면의 육지가 섬처럼 가뭇가뭇 이어진다. 강진만에는 청둥오리.쇠오리등 겨울철새들의 군무도 볼 만하다. 강진만 일대는 겨울바다와 더불어 다산초당.무위사.월출산국립공원등을 둘러볼 수 있어 겨울방학을 이용한 가족 나들이코스로도 안성맞춤이다

2)만덕산행길잡이

백련사를 들머리로 하여 다산초당~삼거리~무명봉~석문까지 만덕산 능선 종주는 약 6시간 걸린다. 천연기념물 151호로 지정된 백련사 동백나무숲 등 문화유적에 관심있는 경우라면 다산초당에서 삼거리~무명봉~안부~정상~금수암~토굴~동백나무숲~백련사로 하여 다시 다산초당으로 내려오는 코스를 택한다. 5시간 소요. 정상에서 북쪽이나 동쪽 덕동마을은 군부대 사격장이 있어 하산길이 될 수 없다.

3)다산초당에서 백련사로  

 만덕산 백련사는 다산초당과 더불어 꼭 찾아봐야 할 곳이다.
초당에서 백련사는 오솔길로 이어져 있어 잠시 틈을 내면 그리 멀지 않게 산책 삼아 갈 수 있는 거리에 있다.
시간에 쫒기지 않는다면 이길을 걸으면서 정약용과 혜장선사가 오갔을 때를 연상해 보면 뜻하지 않은 좋은 여행이 될 것이다. 그리고 잠시 발을 멈춰 멀리 구강포를 바라보면 평소 자신이 누구를 그리워하는지  알 수 있게 될 것이다. ^^만약 여행시기가 이른 봄이라면 백련사를 막 눈앞에 두고
다산과 혜장이 함께 산책했을 붉은 동백숲에 이르게 될 것이다. 그리고 그 동백이 모진 겨울을 뚫고 어떻게 그렇게 붉게 피어나는지 직감할 수 있을 것이다.  
 천연기념물 제 151호로 지정된 아름드리 동백나무 숲이 땀흘린 수고를 기꺼이 깊은 미소로 답해 줄것이다.

*다산과 혜장이 처음 만나던 순간(을 한번 돌이켜 보자)

 다산은 귀양살이가 몇 년 지나 주변의 감시가 어느 정도 뜸해지자 첫나들이에 백련사를 찾았는데 산을 오르던 중 젊은 승려를 만난다. 그가 바로 혜장이었다.
두사람은 서로 뜻이 통하여 주역에 관한 이야기로 해지는 것도 잊고 서로에게 빠져들었다.
초당에 돌아온 다산은 낮에 만난 혜장의 생각으로 잠을 못이루고 있는데 인기척에 문을 여니 혜장이 문앞에 서 있었다. 혜장도 다산을 잊지 못해 밤중에 산을 넘어온 것이다. 두 사람은 밤을 새며 학문에 심취하였고, 이후 두 사람의 학문은 근세 유불의 회통을 낳게 된다.
 혜장은 학승의 모임(400여 명)인 두륜회를 이끌었는데 나이 30세이니 그의 학문과 인품됨을 알 만하다. 이때 다산의 나이는 44세 혜장이 10년 아래였다.
 다산과 밤을 새워 가며 주역을 논하던 혜장은 “20년의 주역공부가 물거품이었습니다. 우물 안 개구리요, 술독 안의 초파리격이니 스스로 지혜롭다고 말할 수 없군요.”
 이후 다산은 백련사를, 혜장은 다산초당을 서로 오가며 혜장은 다산에게서 주역을 배우고 다산은 혜장에게서 차를 배웠다. 이후 다산은 혜장의 배려로 고성사(우둔산)에 머무르며 학문에 몰두하게 되고 이때 그 유명한 걸명소를 쓴다.


다산은 백련사를 찾았던 일을 「春日遊白蓮社」라는 시에서 이렇게 그렸다.

조각구름 흘러가며 흐린 하늘 개이고
냉이밭에 흰 나비 펄럭이며 날을 때
우연케도 집뒷산 나무꾼 길따라
숲을 헤쳐 나가보니 보리밭 언덕이네.
궁벽한 산촌 봄날 아는 노인 왔다면서
벗없던 거친 동네 각승(覺僧)은 어질었다.
더구나 도연명 찾은 듯 보아주어서…

 백련사지에 따르면 동백은 유차의 속명이라 했다. 붉은 동백과 어우러진 차나무의 새순을 따다 산세 좋은 돌밑에서 솟는 물로 차를 달였으니 그 유명한 '만덕산전차'가 나올 만도 하다.
만덕산(다산)에는 주변에 자생하는 차나무가 많았는데 혜장은 보리 이삭이 필 때면 차싹을 따다 정성껏 차를 만들어 다산에게 대접했다. 육우의 차맛에 못지 않았다는 시에서 두 사람이 차를 벗삼아 시를 나누고 마음을 나누었던 것이다. 후에 다산은 나이가 훨씬 어린 초의와 김정희와도 교유하게 되는데 이들은 다산을 매우 존경하며 따랐으며 함께 차를 나누며 학문을 논하는 나이를 뛰어넘는 좋은 벗이었음은 두말할 필요가 없을 것이다.
 1818년 다산의 강진 생활이 마무리되던 해에 그의 제자들이 다신계 (茶信契)를 조직하기도 했는데
해배되어 마현에 와 있을 때도 차를 가져오기도 했다고 한다.

 

 

출처 : 여행, 바람처럼 흐르다
글쓴이 : 무심재 원글보기
메모 : 다산 정약용 관련 자료